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공급망 관리 쉬운 수소車, 전동화 전환에 필수…전기차만으론 어려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미하엘 라트 BMW 부사장 韓취재진 인터뷰
"기술은 성숙, 충전소 필요…2028년 출시"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차 부문 총괄 부사장은 "배터리 전기차는 희귀한 소재가 없을 때 제작이 어렵다"면서 "희귀금속에 의존하지 않는 수소 전기차가 회복탄력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라트 부사장은 29일 열린 재팬모빌리티쇼2025 사전공개행사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수송부문 탈탄소화를) 전기차만으로는 100% 구현하지 못한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BMW는 한국의 현대차, 일본 도요타·혼다와 함께 수소 기반의 구동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완성차 회사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만든 전기로 모터를 돌리고 차량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29일 재팬모빌리티쇼2025 BMW 전시관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난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부문 총괄부사장.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29일 재팬모빌리티쇼2025 BMW 전시관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난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부문 총괄부사장.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완성차 제작은 공급망 관리가 회사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협력사 관리는 물론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셧다운, 수시로 불거지는 미·중 간 무역분쟁으로 인한 수출통제 등 수많은 변수를 다뤄야 한다. 라트 부사장은 "(배터리 전기차가) 일부 지역에서만 나는 금속을 쓰는데 이는 수소차와는 가치사슬이 완전히 다르다"며 전동화 진행 과정에서 상호보완하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봤다.


BMW는 2028년 출시를 목표로 3세대 iX5 하이드로젠을 개발하고 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5를 기반으로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적용한 차로 현재는 2세대 모델을 시범적으로 운행하고 있다. 2세대 모델은 도요타로부터 연료전지를 조달받는 수준에 그친 반면 개발 중인 3세대는 도요타와 공동 개발하는 등 협업 범위를 한층 넓혔다.


29일 재팬모빌리티쇼2025 BMW 전시관에서 전시된 iX5 하이드로젠.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29일 재팬모빌리티쇼2025 BMW 전시관에서 전시된 iX5 하이드로젠.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신형 3세대 연료전지기술은 기존에 비해 부피가 25%가량 줄었다. 전력밀도를 높여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된 덕분이다. 한 번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와 출력이 나아질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라트 부사장은 "2세대 시스템 기술도 이미 출시 가능한 성숙 단계에 있으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해 출시 시점을 2028년으로 잡고 있다"며 "도요타와 협업하면 (부품 공동수급 등을 통해)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말했다.

인프라 확충이 단기간 내 쉽지 않은 건 비용이 상당한 데다 규제, 기술적 제얀 요인 등 풀어야 할 게 많기 때문이다. 유럽에선 차량이나 연료에 보조금을 주는 한편 200㎞ 구간마다 충전소를 두도록 하는 등 지원하고 있으나 여전히 관련 규제나 기준이 까다롭다. BMW는 현대차와도 독일 등 유럽 내 충전소를 확충하기 위한 협의체(Hydrogen Mobility at Scale, HyMoS)를 구성하는 등 손을 잡았다. 한국의 수소 충전 인프라를 늘리는 데 신경 쓰고 있는 데 대해 라트 부사장은 고맙다고 전했다.


BMW가 머지않아 새로운 파워트레인을 개발해 신차에 적용한다면 기존 내연기관(가솔린·디젤)·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에 이어 다섯 번째 동력계통 제품군을 갖춘다. 이 회사는 과거 수소를 직접 분사해 엔진을 가동하는 방식도 구상했으나 효율성이 낮아 최종 양산제품으로 개발하지 않았다.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부문 총괄부사장이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미하엘 라트 BMW그룹 수소부문 총괄부사장이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도쿄=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