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매출·이익률 다 늘었는데…이자 갚기도 버거운 기업 '역대 최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국은행 2023년 기업경영분석
매출액 3.7%·영업이익 4.6% 개선됐지만
반도체만 날았다…중소기업 수익성은 하락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도 42.8%로 늘어

지난해 국내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됐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익성 양극화는 더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대기업은 실적 개선이 뚜렷했던 반면, 중소기업은 영업이익률이 오히려 악화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기 어려운 기업 역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매출·이익률 다 늘었는데…이자 갚기도 버거운 기업 '역대 최대'
AD
원본보기 아이콘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청에 법인세를 신고한 비금융 영리법인기업(96만1336개)의 매출액증가율은 3.7%로, 전년(-1.5%) 대비 상승 전환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2.3%→4.6%)과 비제조업(-0.9%→2.0%) 모두 늘었다. 매출액 상승 폭은 전자·영상·통신장비업(-14.5%→19.6%)이 컸다. 한은은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수출 단가와 물량이 상승하면서 관련 회사들의 매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해상운임지수가 오르면서 운수·창고업(-9.0%→11.6%)도 매출이 늘었고, 도소매업(-2.1%→2.9%)도 전년도 면세점 매출 감소의 기저효과에 원자재 거래부진 완화 등의 영향을 받아 매출이 개선됐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4.3%에서 3.4%로 상승 전환했고, 중소기업도 2.8%에서 4.1%로 늘었다. 총자산증가율도 6.3%에서 7.0%로 전년 대비 상승했다.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4.6%로 전년(3.5%) 대비 개선됐다.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개선된 건 2016년, 2017년, 2021년 이후 네 번째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3.3%→5.1%)과 비제조업(3.7%→4.1%) 모두 상승했다. 이 역시 전자·영상·통신장비업(-3.0%→8.3%)의 수익 개선세가 두드러졌다. 전기요금 인상과 에너지 가격 하락 등의 영향을 받은 전기가스업(-11.1%→0.7%) 역시 수익성이 상승 전환했다.

반면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3.7%에서 5.6%로 상승한 반면 중소기업(3.2%→3.0%)은 하락했다.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도 대기업은 3.8%에서 4.3%로 상승했으나 중소기업(2.6%→2.4%)은 오히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상윤 한은 경제통계1국 기업통계팀장은 "이번 성장성과 수익성 개선은 업종별로는 반도체 중심,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중심으로 개선됐다"며 "전반적으로 개선된 건 맞지만 세부적으로 봤을 때는 대기업과 제조업, 그중에서도 반도체에 편중된 호조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반도체만 호조인 건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고, 2023년에 반도체가 특히 안 좋았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익성 지표가 엇갈리면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 비중은 오히려 확대됐다.

매출·이익률 다 늘었는데…이자 갚기도 버거운 기업 '역대 최대' 원본보기 아이콘

이자보상비율은 191.1%에서 244.1%로 늘었지만 이 비율이 100%를 밑도는 기업 비율은 42.3%에서 42.8%로 확대됐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9년 이후 최고치다. 영업적자로 이자보상비율이 0%를 넘지 못한 기업 비중도 33.7%에서 33.9%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이자보상비율이 500%를 넘는 우량기업 비중은 30.5%에서 29.4%로 축소됐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수익으로 금융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비용을 감당할 만한 여유가 있다는 의미다. 문 팀장은 "반도체,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자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지만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우량하지 않은 기업은 수익성이 좋지 않았다"며 "전체적으로 이자보상비율은 상승했지만 100% 미만 기업 수 비중도 상승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안정성 측면에서 자기자본 대비 부채(빚)의 비율을 나타내는 부채비율은 1년 사이 120.8%에서 119.9%로 하락했다. 부채비율은 높을수록 기업 경영의 안정성이 악화했다는 의미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75.9%→75.8%)과 비제조업(163.1%→162.6%) 모두 부채비율이 소폭 하락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은 101%에서 101.5%로 소폭 상승한 반면, 중소기업은 166.9%에서 162.7%로 하락했다. 기업의 부채 가운데 외자 도입이나 은행 차입금, 사채 등 외부에서 조달한 자금의 비중을 뜻하는 차입금의존도는 31%로 1년 전(31.4%)보다 소폭 하락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