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짧은 치마 입고 침실 배경서 '골반춤' 패러디…경남교육청 영상 논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경남도교육청이 온라인에서 유행 중인 '골반 춤'을 패러디한 홍보 영상을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올렸다가 논란이 커지자 삭제했다.

최근 경남교육청은 SNS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에 '내 골반이 멈추지 않는 탓일까'라는 문구와 함께 짧은 치마 차림의 여성이 골반을 흔드는 장면이 담긴 홍보 영상을 게시했다.

영상은 침실로 보이는 가상 공간을 배경으로 제작됐으며 경남교육뉴스를 '시청한다' 또는 '안 한다' 중 선택을 유도하는 형식이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유행 중인 '골반 춤 챌린지' 패러디
논란 커지자 영상 삭제 후 사과 나서

경남도교육청이 온라인에서 유행 중인 '골반 춤'을 패러디한 홍보 영상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가 논란이 커지자 삭제했다.

최근 경남교육청은 SNS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에 '내 골반이 멈추지 않는 탓일까'라는 문구와 함께 짧은 치마 차림의 여성이 골반을 흔드는 장면이 담긴 홍보 영상을 게시했다. 영상은 침실로 보이는 가상 공간을 배경으로 제작됐으며 경남교육뉴스를 '시청한다' 또는 '안 한다' 중 선택을 유도하는 형식이었다.

경남도교육청이 온라인에서 유행 중인 '골반춤'을 패러디한 홍보 영상을 SNS(소셜미디어)에 올렸다가 삭제했다. 경남교육청이 공식 SNS 계정에 올린 영상. 경남도교육청 인스타그램

경남도교육청이 온라인에서 유행 중인 '골반춤'을 패러디한 홍보 영상을 SNS(소셜미디어)에 올렸다가 삭제했다. 경남교육청이 공식 SNS 계정에 올린 영상. 경남도교육청 인스타그램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콘텐츠는 온라인에서 유행 중인 '골반 춤 챌린지'를 패러디한 것으로, 아이돌 멤버들이 따라서 하며 인기를 끈 챌린지 영상을 차용한 것이다. 영상 설명에 해시태그로 '골반통인' '골반이 안 멈추는 병' '여러분의 '좋아요'가 홍보팀의 골반을 더 흔들리게 합니다' 등의 문구가 덧붙여졌다. 하지만 공교육 기관이 해당 밈을 활용한 데 대해 교육기관의 품위를 떨어뜨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영상 자막에는 '내 골반이 멈추지 않는 탓일까?' '선택해줘요' 등의 문구가 덧붙여졌다. 배경 음악은 그룹 AOA의 '짧은 치마'가 사용됐다.


전교조 경남지부는 "이 영상은 명백히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고 있으며 공교육 기관의 품위를 심각하게 실추했다"면서 "여성을 성적 도구로 활용해 대중의 관심을 유도하려는 혐오적 콘텐츠"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성을 대상화하는 복장을 하고 골반 춤을 추는 것은 교육청 공무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경남교육청이 성평등과 인권에 대해 얼마나 안일한 인식을 가졌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하루빨리 부끄러운 현실을 직시하고 근본적인 변화를 보여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지적했다.

거센 비판에 경남교육청은 해당 게시물을 삭제하고 "밈을 활용해 경남교육 뉴스를 홍보하려는 순수한 의도였지만, 표현 방식에 부적절한 점이 있었다"며 "성차별적 이미지가 담겼다는 비판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교육기관으로서 성평등과 인권 존중의 가치를 최우선에 뒀어야 했지만, 결과적으로 불쾌감을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제작 과정에서 인권 침해나 성차별 요소가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경남교육청은 전교조가 요구한 문제 게시물의 삭제, 공식 사과 및 재발 방지 대책, 홍보물 성별 영향평가 강화, 전 직원 대상 성인지 감수성 교육 등 4가지 요구를 모두 수용하겠다고 밝히면서 "이번 일을 뼈아픈 교훈으로 삼아 성인지 관점을 행정 전반에 반영하고, 인권 친화적 교육 행정을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