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자동화, 물류 인력 50만명 대체
재교육한다지만 대규모 실업 불 보듯
노동시장 위기 대비한 세부 정책 시급
아마존이 미국 내에서만 50만명 이상의 일자리를 로봇과 자동화 소프트웨어로 대체할 계획이라는 뉴욕타임스(NYT) 보도가 전 세계에 충격을 안겼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시기 비대면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직원을 120만명으로 늘린 기업이라 충격은 더 크다. 수많은 인력의 힘으로 성장한 물류 플랫폼이 이제 기술의 힘으로 초대형 인력 감축에 나선다. 파업도 산업재해도 없는 유토피아 같은 현장이지만, 아쉽게도 그곳엔 노동자도 없다. 기술 발전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불안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아마존은 자동화된 물류창고를 오래전부터 준비해왔다. 2012년 '키바'라는 로봇 회사를 인수한 게 그 시작이다. 오늘날 아마존 물류 창고에는 바닥의 바코드를 인식해 움직이는 운반 장치, 상품의 크기와 무게를 따져 순식간에 분류하는 로봇, 그리고 이 모든 장치를 실시간으로 지휘하는 알고리즘 컨트롤 타워가 가동되고 있다.
이미 전 세계 아마존 창고에 100만대가 넘는 로봇이 투입됐다. 새로 짓는 창고는 사람의 육체노동이 거의 필요 없을 정도로 자동화가 완성됐다. 경영진은 상품 판매량이 두 배로 늘어도 인력을 늘릴 필요가 없다고 자신한다. 자연 감소분까지 포함하면 2027년까지 16만명, 2033년까지 최대 60만명에 달하는 인력이 기계로 대체된다는 전망이다.
이런 변화는 통상 '효율적 혁신'이란 이름으로 포장된다. 기계가 단순 반복 작업이나 힘든 노동을 대신하면 남는 인력은 더 창의적인 일에 집중하거나 새로운 직무로 이동할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모든 노동자가 미래지향적인 직무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을까. 충분한 시간과 정책적 뒷받침이 부족한 상황에서 말이다. 전문가들은 아마존의 이런 변화가 산업혁명보다 파급력이 크고, 새로 생기는 고임금 일자리는 소수에게만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자동화가 실질적으로는 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아무리 좋은 말로 꾸며도 '대규모 인력 감축'이란 핵심은 비켜갈 수 없다. 아마존 전략팀 일부는 사회적 논란을 의식해 '자동화'나 '로봇' 같은 단어 대신 '첨단기술' '협동 로봇(co-bot)' 등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으로 들리는 용어를 쓰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 여론이 거세지자 아마존은 "특정 용어 사용을 강제하지 않았다"며 한발 물러서는 입장을 냈다.
아마존은 인력 감축 보도가 나온 지 며칠 만에 이를 의식한 듯한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이다. 수십만 명이 컴퓨터, 인공지능(AI), 로봇 활용 등 새 일자리를 위한 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50만명이 넘는 직원이 새로운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처럼 큰 규모의 직무 전환 프로그램이 실제로 사라지는 일자리의 숫자와 속도를 감당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단순 반복 노동을 하던 수십만 명이 단기간에 고급 기술 인력으로 변신할 수 있을까. 역설적이게도 재교육 프로그램은 일할 기회가 모두에게 균등하게 주어지지 않으리라는 암울한 전망을 더욱 부각시킬 뿐이다.
기술 발전에 올라타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자본가들보다 한 수 더 멀리 내다보는 정책수립자는 역사상 찾기 힘든 게 사실이다. 국가를 불문하고 '자동화로 인한 대규모 실업'이란 노동의 위기를 거시적으로 인지하고 미리 대비하는 정책이 없다는 점이 안타깝다. '아경의 창' 칼럼에서 매번 하는 말이지만,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다. 기본소득이니 주 4.5일제니 하는 장밋빛 노동정책을 논하기에 앞서,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때다.
박충훈 콘텐츠편집2팀장 parkjov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300억짜리 광고를 무료로 했네"…젠슨 황이 들자 ...
                    마스크영역
                    "300억짜리 광고를 무료로 했네"…젠슨 황이 들자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경의창]아마존 대규모 인력 감축 계획과 노동의 미래](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41511022220243_1744682542.jpg) 
			


!["눈이 휘둥그레, 딴 세상이 펼쳐진다"…'보석' 같은 공간들 [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0155489387_1761873354.jpg)













![[영상2도]'중간계' 실패가 보여준 AI 영상 갈 길](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3482956348A.jpg)
![[기자수첩]'코스피 5000' 발목 잡는 공시규정](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1092674279A.jpg)
![[법조스토리]사법부 공격으로 변질된 사법개혁](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08304620423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눈이 휘둥그레, 딴 세상이 펼쳐진다"…'보석' 같은 공간들 [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10/2025103110155489387_176187335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