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아무리 끓여도 안 사라져"…라면 급하게 먹다 '신장손상 위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전문가들은 중금속이 체내에 축적될 경우 신경계·신장·간·혈액·호흡기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일으키며 발암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의 경우 소량의 노출만으로도 발달 장애나 태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납은 신경 발달 장애, 학습장애, 행동 문제, 신장 손상, 고혈압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어린이의 두뇌 발달에 큰 악영향을 끼친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라면 빨리 끓이려고 수돗물 온수 사용
급수관 거치며 중금속 용출 우려
끓여도 납·구리 제거 안 돼 '주의'

라면을 끓일 때 수돗물 온수를 사용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보다 빨리 끓일 수 있어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사소한 습관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온수는 정수장에서 공급된 물이 아닌, 가정 내 보일러·온수기 배관을 거쳐 흘러나오기 때문에 각종 금속 성분이 용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냉수와 공급되는 배관 달라…구리·납·니켈·철·아연 등 섞여 나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AD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는 수돗물을 마시거나 요리에 사용할 때 반드시 냉수를 쓸 것을 권고했다. 이는 수돗물 온수와 냉수의 물이 흘러나오는 길이 다르기 때문이다. 냉수는 수도관을 통해 정수장에서 처리된 물이 가정까지 곧바로 공급되지만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배관을 거쳐 나온다.

이때 구리, 납, 니켈, 철, 아연 등 금속이 용출될 가능성이 높고,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그 위험은 배가된다. 특히 노후화된 배관에서는 납 용출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2022년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에서는 온수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음용수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끓여도 사라지지 않는 중금속…어린이·임산부에 치명적

온수에 섞인 중금속은 끓여도 제거되지 않는다. 수돗물 속 박테리아나 염소 소독 시 생기는 트리할로메탄(THM) 같은 유기화합물은 끓이는 과정에서 대부분 사라지지만, 납이나 구리 등 중금속은 물리적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온수로 라면이나 국물 요리를 조리할 경우, 중금속을 그대로 섭취하는 셈이 된다.


전문가들은 중금속이 체내에 축적될 경우 신경계·신장·간·혈액·호흡기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일으키며 발암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의 경우 소량의 노출만으로도 발달 장애나 태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납은 신경 발달 장애, 학습장애, 행동 문제, 신장 손상, 고혈압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어린이의 두뇌 발달에 큰 악영향을 끼친다. 수은은 중추신경계 손상, 기억력 감퇴, 손 떨림, 시력 및 청력 저하, 신장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카드뮴은 신장 기능 저하, 골격 약화(이른 골다공증), 폐 손상, 암 발생 위험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만성 중독으로 신경계 장애, 면역력 저하, 만성 신장 질환, 암 발생 위험 증가, 생식 및 발달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수돗물을 안전하게 섭취하려면 음식 조리 시에는 냉수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수돗물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다면, 배관에 고여있던 불순물 배출을 위해 물을 10~30초 흘려보낸 뒤 사용하는 게 좋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