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경기 전망하는 기업들 눈은 여전히 냉랭…비제조업 중심 심리 악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BSI 94.8…3년8개월째 기준치 하회
제조업·비제조업 4개월 연속 동반 부진
비제조업은 고환율 등으로 전월비 3p 하락
내수·투자·수출 17개월 연속 트리플 악화
"외환 안정·공급 다변화로 불확실성 해소"

우리 기업들의 향후 전망을 통해 체감하고 있는 경기 상황을 엿볼 수 있는 '경기실사지수(BSI)'가 3년8개월째 기준선인 100을 넘지 못하고 하회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11월 BSI 전망치가 94.8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챗지피티로 구현한 이미지. 아시아경제

챗지피티로 구현한 이미지. 아시아경제

AD
원본보기 아이콘

BSI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전월보다 긍정적, 낮으면 부정적으로 경기를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 99.1을 기록한 이후 이번 11월 조사까지 3년8개월 연속 100을 넘지 못했다. 전망치뿐만 아니라 BSI 실적치도 이달 91.1을 기록해, 2022년 2월 91.5 이후 3년9개월 연속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기업들이 전체적으로 우리 경기 흐름에 대해 냉랭한 시각을 갖고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들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96.8)과 비제조업(92.8) 모두 기준선 100을 하회하며 4개월 연속 동반 부진했다. 제조업 BSI(96.8)는 지난해 4월부터 1년8개월 연속, 비제조업 BSI(92.8)는 지난 8월부터 4개월 연속 100 아래였다. 이에 대해 한경협은 제조업 BSI가 10월(96.8)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 반면, 비제조업 BSI(92.8)는 전월 대비 3.0p 하락하면서 전체 기업 심리의 하락을 이끌었다고 풀이했다.


제조업 세부 10개 업종 중에선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20.0)와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107.1)이 호조를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식음료 및 담배(100.0), 자동차·선박 및 기타운송장비(100.0)를 제외한 의약품(75.0) 등 나머지 6개 업종은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비제조업 세부 7개 업종 중에는 정보통신(112.5) 전문·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106.7), 전기·가스·수도(105.3)가 호조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운수 및 창고(80.8) 등 나머지 4개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협은 환율 급등으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과 소비심리 위축, 10월 명절 특수 소멸 등이 비제조업 부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10월 조사 부문별 BSI는 내수(97.6), 수출(94.2), 투자(91.6) 등 전 종목이 부정적인 전망을 이어갔다. 전 부문 부진은 지난해 7월 이후 1년5개월째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외환 변동성 확대, 대외 공급망 불안 등이 우리 기업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면서 "원화 가치 안정화 노력과 함께 공급망 다변화, 통상리스크 해소 등을 통해 기업 심리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