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러면 대체 누가 아기 낳나"… 쌍둥이 출산 260만 유튜버 분노한 이유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쌍둥이 출산' 임라라, 응급실 뺑뺑이 폭로
"받아준다는 응급실 없어 결국 분만 병원으로"

최근 쌍둥이 남매를 출산한 개그우먼 임라라(본명 임지현)가 산후 출혈로 위급한 상황에서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미수용)'를 경험했다고 폭로했다. 그는 "병원이 이렇게 많은데 왜 안 받아주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며 "이런 상황이라면 누가 아기를 낳을 수 있겠느냐"고 씁쓸해했다.


지난 26일 임라라와 남편 손민수는 260만 구독자를 보유한 두사람의 유튜브 채널 '엔조이커플'을 통해 "많은 분께 걱정을 끼쳐 미안한 마음과 감사의 마음을 글로 표현하기 부족해 인사드린다"며 영상을 올렸다.

개그우먼 출신 유튜버 임라라와 남편 손민수. 임라라 인스타그램

개그우먼 출신 유튜버 임라라와 남편 손민수. 임라라 인스타그램

AD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임라라는 지난 14일 쌍둥이를 출산한 뒤 9일 만에 갑작스러운 출혈로 응급실을 거쳐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손민수는 "라라가 응급실에 실려 간 걸 보고 많이 놀라셨을 것 같다. 지금은 회복 중"이라며 "쌍둥이를 임신하면 자궁이 워낙 많이 늘어나 있어서 수축하다 그럴 수 있다고 한다"고 했다.


임라라는 "산후 출혈이었다"며 "제왕절개 수술을 하다 잘못된 건 아니다. 14일에 아기를 낳고 잘 회복했다. 산과 마지막 진료까지 마치고 '많이 걸어라'는 이야기까지 들은 날 갑작스러운 하혈로 응급실에 갔다"고 했다.


이번 영상을 찍어 올린 이유에 대해서는 "보는 분들이 '그런 상태에서 영상을 찍느냐'며 욕하실 수 있을 것 같다. 겪어 보니 '이런 일이 반복되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카메라를 켰다. 진짜 바뀌었으면 좋겠고, 개선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말씀드린다"고 했다.

"산후 출혈로 쓰러졌는데 응급실 뺑뺑이"

이어 임라라는 산후 출혈 당시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산후 출혈이 굉장히 심각한 상황에 있는 산모를 받아주는 병원이 없었다"며 "받아주는 응급실이 아예 없어서 결국 출산했던 병원으로 30~40분 걸려 이동했다. 가는 동안 기절만 한 10번 한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산모가 응급차에서 뺑뺑이 돌다가 죽었다'는 뉴스를 보고 안타까워한 기억이 있는데 바뀐 게 없지 않나. 직접 겪으니 말이 안 되더라"며 "요즘 저출산이다 뭐다 말이 많은데, 아기와 산모의 생명이 보장되지 않으면 저출산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라고 지적했다.


최근 쌍둥이 남매를 출산하고 산후 출혈을 겪은 개그우먼 임라라(오른쪽)가 남편인 개그맨 손민수와 함께 ‘응급실 뺑뺑이’ 경험을 설명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엔조이커플enjoycouple’

최근 쌍둥이 남매를 출산하고 산후 출혈을 겪은 개그우먼 임라라(오른쪽)가 남편인 개그맨 손민수와 함께 ‘응급실 뺑뺑이’ 경험을 설명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엔조이커플enjoycouple’

원본보기 아이콘

"이렇게 하면 누가 아기를 낳지라고 생각"

당시 임라라는 여러 차례 의식을 잃었고, "정신을 차리라"는 구급대원과 손민수의 외침에 겨우 눈을 뜨길 반복했다고 한다. 임라라는 "의식을 차릴 수 없는데 차리라고 하는 그 긴 시간이 너무 힘들었다"며 "(집 근처에) 병원이 이렇게 많은데 왜 안 받아주지, 이렇게 하면 누가 아기를 낳겠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끝으로 "구급대원 아니었으면 지금 저는 죽었을 거다. 다른 거 바라는 거 없고 나 같은 상황이 또 안 생겼으면 좋겠다"며 "출산하는 과정이 목숨을 걸고 낳는 거고 굉장히 심각한 상황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럴 때 조치를 빠르게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초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대란' 이후 응급실 뺑뺑이 환자가 급증했다. 소방청 119구급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119구급대 출동부터 병원 도착까지 1시간 이상 걸린 환자는 2023년 11만3081명에서 지난해 13만3683명으로 18.2% 증가했다. 지난달 초 의대 증원에 반발해 집단 사직했던 전공의(인턴·레지던트) 상당수가 복귀한 상황에서도 응급의료체계가 여전히 불안한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국회는 '응급실 뺑뺑이'를 개선하기 위한 응급의료법 개정안을 재석 261명 중 찬성 260명, 기권 1명으로 가결했다. 개정안은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구급대원 등이 응급실에 신속하게 연락해 환자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핫라인'(전용회선)을 설치하는 등 내용을 담았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