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소득이동통계' 결과
상향 이동 17.3%, 하향 이동 16.8%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소득분위)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 남짓에 그쳤다. 소득 상위 20%(5분위)로 진입하기는 여전히 어렵지만, 일단 오르면 내려오지 않는 구조가 고착화했다. 반면 하위 20%(1분위)는 가난에서 벗어나기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불평등이 완화되지 못한 채, 사회이동성이 3년째 둔화하는 모습이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소득 분위가 달라진 사람은 전체의 34.1%였다. 전년(34.9%)보다 0.8%포인트 감소해 이동성이 3년 연속 둔화했다.
이 중 소득이 상향 이동한 사람은 17.3%, 하향 이동한 사람은 16.8%로, 상향 이동 비중이 근소하게 높았다. 다만 상향·하향 이동 모두 감소하면서 전반적인 소득이동성은 약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35.2%로 남성(33.3%)보다 이동성이 높았다. 여성의 상향 이동 비율은 18.1%로 하향 이동(17.1%)보다 1.1%포인트 높았고, 남성은 상향과 하향 이동이 각각 16.6%로 동일했다.
연령대별 소득이동성은 청년층이 높고, 노년층이 낮았다. 청년층(15~39세)의 소득이동성은 40.4%, 중장년층(40~64세) 31.5%, 노년층(65세 이상) 25.0% 순이었다. 청년층은 상향 이동(23.0%)이 하향 이동(17.4%)보다 많았으나,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오히려 하향 이동이 각각 2.1%포인트, 5.2%포인트 높았다.
최바울 국가통계연구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은 "2023년 소득이동성은 남자보다 여자가 높고, 청년층이 가장 높으며 중장년, 노년층 순"이라며 "중장년, 노년층은 하향 이동의 비율이 높고, 청년층은 상향이 높다. 이는 노동시장에 막 진입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위층 탈출률 29.9%… 5분위 10명 중 9명 '그대로'
하위계층의 탈출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2022년 기준 소득 하위 20%(1분위)에 속했던 사람 가운데 70.1%는 2023년에도 같은 계층에 머물렀고, 29.9%만이 2분위 이상으로 올라섰다. 이는 전년(30.9%) 대비 1.0%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하위층의 상향 이동성이 둔화했다.
반대로 상위 20%(5분위)는 소득 유지율이 85.9%로 여전히 10명 중 9명 가까이가 상위 계층에 머물렀다. 5분위로의 진입 역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4분위 계층 가운데 2023년에 5분위로 이동한 비율은 10.5%로, 다른 구간 이동보다 낮았다.
2분위의 소득 이동률은 48.6%로 가장 높았고, 3분위 44.0%, 4분위 34.0%, 1분위 29.9%, 5분위 14.1% 순이었다. 소득분위 유지율은 5분위(85.9%), 1분위(70.1%), 4분위(66.0%), 3분위(56.0%), 2분위(51.4%) 순으로 양 끝단 계층일수록 고착화 경향이 강했다.
소득 늘어난 사람 64.0%… '10% 미만 상승' 22.3%
절대적 이동성 기준으로 보면 2023년 소득이 증가한 사람은 전체의 64.0%로, 전년(64.4%) 대비 0.4%포인트 줄었다. 반면 소득이 감소한 사람은 33.9%로 1.0%포인트 늘었다.
상승 폭을 구간별로 나누면 10% 미만 상승 22.3%, 10% 이상~50% 미만 상승 21.3%, 50% 이상 상승이 20.4%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상승 64.4%, 하락 33.8%였고, 여성은 상승 63.5%, 하락 34.1%였다. 연령대별로는 청년층이 67.5%로 상승 비율이 가장 높았고, 중장년층 63.6%, 노년층 52.4% 순이었다. 소득이 줄어든 비율은 노년층(39.9%)이 가장 높았다.
2023년 소득분위 경곗값(각 분위로 구분되는 소득 하한선)은 상위로 갈수록 상승 폭이 줄었다. 1분위 경곗값은 전년 대비 6.1%포인트 감소한 12.6%, 2분위는 10.0%(-2.4%포인트), 3분위는 8.4%(0.0%포인트), 4분위는 6.2%(-0.8%포인트)로 나타났다. 평균소득 증가율은 5.8%로 전년보다 1.8%포인트 낮아졌다. 소득 하위층일수록 소득 증가율이 둔화하며, 상위층과의 격차가 완화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 이동성… 제주·인천 높고 세종·전북 낮아
지역별 소득이동성은 제주(35.5%), 인천(35.4%), 경기(34.8%) 순으로 높았다. 반면 세종(30.5%), 전북(31.5%), 강원(31.8%)은 낮았다.
상향 이동률은 제주(17.9%), 인천(17.8%), 서울(17.6%)이 높았으며, 하향 이동률은 인천(17.7%), 제주(17.6%), 경기(17.3%) 순이었다. 세종과 울산, 전북은 하향 이동률이 가장 낮았다.
한편 '2023년 소득이동통계' 결과는 15세 이상 인구 중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약 1100만명을 대상으로 국세청 소득자료와 행정데이터를 결합해 개인 단위로 분석한 종단형 패널 통계다. 특정 개인의 소득금액 변화, 소득계층 간 이동, 계층 유지 기간 등을 모두 추적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지각' 트럼프 연설 때 사라진 이재용…총수들의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현금 6억 든 어르신들이 TV 보고 찾아와"…집값 들썩이는 비규제 지역[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709440681693_1761525846.jpg)



![막오른 APEC 누될라…공무원, 公기관 기강 강화 나서[관가 in]](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18020211201988584_1517538019.jpg)



![[기자수첩]'지금조방원'이 불편한 이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910241058263A.jpg)
![[시론]숏츠 장사에 빠진 국회의원](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911205580090A.jpg)
![[아경의창]아마존 대규모 인력 감축 계획과 노동의 미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910111486493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