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중심으로 실용성 중시 트렌드 확산
고프코어 열풍에 활동성 높은 경량패딩 인기
올해 가을·겨울 시즌의 핵심 아이템으로 경량패딩이 급부상하고 있다.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패션 전반으로 확산하면서다.
26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LF몰에서 '경량' 관련 검색량은 전년 대비 30%, '경량 패딩'은 109% 증가했다. 최근 계절이 급속도로 바뀌며 간절기 기간이 짧아진 것이 수요 확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경량패딩은 과거에는 야외활동용 내피로 주로 취급됐으나, 이제 도심형 데일리 아우터로 소비되고 있다. 런닝·등산을 즐기는 '고프코어(고어텍스+노멀코어)' 스타일이 일상에서 유행하면서, 가볍고 활동성이 좋은 이른바 '라이트 아우터'가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특히 경량패딩은 헤비패딩 대비 가격대가 부담이 적고 관리가 쉽다는 점, 코트·재킷 안에 넣어 입는 레이어링 스타일이 가능하다는 점도 2030 소비자에게 매력 포인트로 작용하고 있다. 이너·단독 아우터 등 다계절 활용이 가능한 점도 강점이다.
이에 무신사 스탠다드는 이번 F/W 시즌 경량패딩 라인업을 2종에서 8종으로 확대했다. 리복 역시 기존 바람막이와 헤비패딩 사이에 새로운 '경량패딩 카테고리'를 추가했다. 티톤브로스는 전년 대비 물량을 20배 이상 늘렸으며, 헤지스·뉴발란스·유니클로 등 주요 브랜드도 충전재·핏·색감을 다양화한 제품을 대거 출시했다.
인기 제품의 경우 리셀(재판매) 플랫폼에서 웃돈 거래까지 발생하는 등, 협업·한정판 중심으로 리셀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노스페이스의 '벤투스 재킷'은 출시 40분 만에 완판됐고,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에서는 실버 컬러 제품이 정가 21만8000원에서 약 2.7배 높은 58만8000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노스페이스는 경량패딩 생산량을 2배 이상 늘린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흐름이 일시적 유행에 머무르지 않고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상기후로 인해 겨울이 짧아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과시 소비보다는 활용도를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러닝·출근·일상 패션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경량패딩 시장이 앞으로도 지속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맛있다" 식당에서 감탄했던 '그 김치'…알고 봤더...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현금 6억 든 어르신들이 TV 보고 찾아와"…집값 들썩이는 비규제 지역[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709440681693_1761525846.jpg)
















![[기자수첩]북극항로 개척하려면 사무관 1명으론 안된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381821540A.jpg)
![[기자수첩]'정품 보증서'로 둔갑한 관세행정 서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584899900A.jpg)
![[블룸버그 칼럼]금 FOMO 트레이드, 이미 늦었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435740741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