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지방시 가문 한국인 며느리, 답례품에 '한국 감성' 담았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SNS 통해 보자기·노리개 장식 양초 공개
파리서 성대한 결혼식…“클래식·우아함 목표”

프랑스 명품 브랜드 지방시(Givenchy) 창립자 가문의 후손과 결혼한 한국계 정다혜씨가 결혼식 이후 하객들에게 전달된 답례품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정씨는 2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결혼식 하객들에게 전달된 선물을 소개했다. 공개된 사진 속 답례품은 한국 전통 실크 보자기와 노리개 태슬로 포장된 양초로, 하얀 보자기 위에 놓인 태슬 장식을 통해 신부의 뿌리와 취향을 드러냈다.

지방시 가문의 후손 션 태핀 드 지방시(오른쪽)와 결혼한 한국계 정다혜씨. 정다혜 인스타그램 캡처

지방시 가문의 후손 션 태핀 드 지방시(오른쪽)와 결혼한 한국계 정다혜씨. 정다혜 인스타그램 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씨는 "정말 마음에 드는 선물"이라며 "한국적 감성을 담고 싶었다"고 적었다


앞서 영국·프랑스 매체 등을 통해 정씨와 션 태핀 드 지방시가 지난 8월 파리의 생트 클로틸드 대성당에서 3일간 성대한 결혼식을 올린 사실이 전해진 바 있다. 해당 성당은 지방시 가문의 소유로 알려져 있으며, 결혼식에는 가문 내 여러 인사가 참석했다.


두 사람은 2018년 캐나다 몬트리올의 맥길대학교 신입생 환영회에서 처음 만나 7년간 연애 끝에 결혼에 이르렀다.

지방시 창립자 집안의 직계 후손인 션은 현재 경매사 크리스티에서 상업금융 선임 애널리스트로 일하고 있다. 서울 출생인 정씨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성장했으며 컬럼비아대에서 경영학 석사를 취득했다. 현재는 션의 삼촌 제임스 드 지방시가 운영하는 맞춤 보석 브랜드 태핀에서 근무 중이다. 약혼·결혼 반지 또한 태핀의 맞춤 제작 제품으로 알려졌다.


정다혜씨가 공개한 결혼식 하객 답례품. 정다혜 인스타그램 캡처

정다혜씨가 공개한 결혼식 하객 답례품. 정다혜 인스타그램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또한 결혼식 당시 정씨가 착용한 웨딩드레스는 한국계 디자이너 앤드류 권의 작품이었으며, 개막 행사에서 입은 드레스는 빅토리아 베컴 브랜드 제품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씨는 결혼식 준비 과정에 대해 "이번 결혼식은 시간을 초월한 클래식과 파리지앵의 우아함이 목표였다"라며 "매주 자료를 모아 100장이 넘는 비전 보드를 만들었고, 플래너가 이를 완벽히 반영해줬다"고 밝힌 바 있다.


지방시는 1952년 위베르 드 지방시가 설립했으며, 배우 오드리 헵번이 즐겨 입으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88년 LVMH 그룹에 인수된 이후에도 지방시 가문은 여전히 패션계에서 영향력을 이어가고 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