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우리 애들 '최애' 반찬인데…" 1급 발암물질 경고 "정부 대응 나서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영국의 과학자들이 베이컨·햄 등 가공육에 사용되는 아질산염 보존제가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며 정부의 강력한 규제를 촉구했다.

그러나 체내에서 발암성 화학물질으로 변할 수 있어서 가공육 섭취는 대장암 발병 위험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2015년 발표에서 하루 50g의 가공육 섭취가 대장암 위험을 약 18%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0년 전 WHO가 가공육 발암물질로 분류
과학자들 “영국 정부 대응 나서야” 촉구

영국의 과학자들이 베이컨·햄 등 가공육에 사용되는 아질산염 보존제가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며 정부의 강력한 규제를 촉구했다. 이들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가공육을 담배·석면과 같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영국 정부가 대응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25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WHO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연구진과 관련 학자들이 최근 웨스 스트리팅 영국 보건장관에게 이같은 내용의 서한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서한에는 가공육 내 아질산염 사용을 단계적으로 금지하고, 제품 포장 전면에 암 위험 경고 문구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과학자들은 특히" 중소 식품업체가 아질산염 대체 공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 애들 '최애' 반찬인데…" 1급 발암물질 경고 "정부 대응 나서야"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질산염은 고기를 선홍색으로 유지하고 부패를 늦추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첨가물이다. 그러나 체내에서 발암성 화학물질(니트로사민)으로 변할 수 있어서 가공육 섭취는 대장암 발병 위험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5년 발표에서 하루 50g의 가공육 섭취가 대장암 위험을 약 18%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아울러 프랑스 소르본 파리 노르대 연구팀은 성인 10만여명을 평균 7.3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첨가제로 섭취한 아질산염이 제2형 당뇨병 발병률을 53% 높였다고 발표했다. 동일한 아질산염이라도 자연 발생이 아닌 가공육 제조 과정에서 사용된 첨가 형태가 더 위험하다는 것이다.

현재 영국에서 판매되는 베이컨의 약 90%가 아질산염을 포함하고 있으며, 무첨가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5~10%에 불과하다. 과학자들은 경고 표시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몇 년 내 아질산염 사용 자체를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국 보건부는 아질산염과 암 사이의 인과성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식품기준청(FSA)의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규제 논의의 방향은 여전히 미지수다.


국내에서도 서울대학교 연구진이 40~69세 여성 7만여명을 10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소시지·햄·베이컨을 주 1회 이상 먹는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57% 높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히 50세 미만 여성은 위험도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가공육이 유방암을 반드시 일으킨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섭취를 줄이는 것이 예방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