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서 열리는 APEC CEO 서밋 홍보
韓 성장 공식도 제시…"수출 공식 안 통해"
한일 경제블록·AI 투자 등 대전환 주문
최태원 SK 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오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을 계기로 보호무역 시대 한국의 생존 해법을 모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26일 유튜브 삼프로TV·언더스탠딩·압권 3개 채널 연합 인터뷰에서 "이번 APEC 정상회의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회원국 정상이 모여 많은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향후 몇 년간 미·중 갈등의 향방을 가늠할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상의 회장 자격으로 이번 서밋 의장을 맡고 있다. 서밋에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비롯해 글로벌 기업인도 다수 참여한다.
최 회장은 "옛날처럼 세계무역기구(WTO) 체제로 자유무역이 회복되긴 어렵다"며 "관세 장벽이 일상화된 시대에는 60년간 이어온 수출 중심 성장 공식이 더는 통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 경제의 해법으로 한일 경제연대와 성장 지향형 규제, 인공지능(AI) 투자, 해외 인재 유입, 메가 샌드박스를 제안했다.
우선 한일 협력에 대해 "양국이 힘을 합치면 6조달러 규모의 시장을 만들고 세계 4위 수준의 경제 블록이 가능하다"며 "경제 블록화 흐름 속에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중소기업을 무조건 보호하는 낡은 방식에서 벗어나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규제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업별 핵심 공급망 강화와 반도체 등 전략 산업 중심의 정책 설계도 주문했다.
그는 "AI 패권 경쟁은 냉전 시대 군비 경쟁을 연상시킨다"며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있어도 해야 할 투자는 해야 한다. 뒤처지면 리스크가 크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역별 메가 샌드박스를 만들어 AI 실험장과 테스트베드를 구축해야 한다"며 "해외 인재가 국내에 머물며 가치를 창출하도록 그린카드 제도 도입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제조업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마진이 높은 소프트 상품과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식 산업화 등 '소프트머니' 발굴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러한 제안의 배경에 대해 "선친 고(故) 최종현 회장께서 늘 '기업은 공동체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기업은 단순한 경쟁 주체가 아니라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존재"라고 말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맛있다" 식당에서 감탄했던 '그 김치'…알고 봤더...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현금 6억 든 어르신들이 TV 보고 찾아와"…집값 들썩이는 비규제 지역[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709440681693_1761525846.jpg)
















![[기자수첩]북극항로 개척하려면 사무관 1명으론 안된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381821540A.jpg)
![[기자수첩]'정품 보증서'로 둔갑한 관세행정 서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584899900A.jpg)
![[블룸버그 칼럼]금 FOMO 트레이드, 이미 늦었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435740741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