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 상위층, 전체 소득 44% 독점
배당으로 14조원 쓸어담아
국내 금융소득 상위 2%가 전체 금융소득의 절반에 가까운 금액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예금이자보다 주식 배당으로 거둔 소득이 훨씬 많아, 자산가들의 투자 패턴이 '이자 중심'에서 '배당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3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는 33만6246명으로 집계됐다. 전년(19만1501명) 대비 75.6% 급증했다.
이들의 금융소득 총액은 32조4929억원으로, 1인당 평균 약 9700만원의 금융소득을 올린 셈이다. 이 가운데 이자소득이 10조7537억원, 배당소득이 21조7392억원으로 배당이 이자의 두 배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소득이 5억원을 넘는 고액 자산가는 6882명으로 전체의 2% 수준이었다. 이들이 신고한 금융소득은 총 14조2436억원으로 전체 금융소득의 43.8%를 차지했다. 1인당 평균 금융소득은 20억7000만원에 달했다.
특히 상위 자산가일수록 배당 비중이 두드러졌다. 5억원 초과자의 배당소득은 12조3327억원으로, 이자소득(1조9108억원)의 약 6.5배였다. 금융소득 내 배당 비중은 무려 86.6%에 달했다. 3억~5억원 구간에서도 배당이 이자보다 2.8배 많았다.
반면 8000만원 이하 소득 구간에서는 이자소득이 배당보다 많았다. 예를 들어 2000만~3000만원 구간의 배당 비중은 33.0%, 3000만~4000만원 구간은 37.4%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상위 금융소득자의 배당 중심 자산 운용은 기업 투자 확대와 맞물린 현상으로 보인다"며 "반면 일반 투자자는 여전히 예금 중심의 보수적 재테크 성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맛있다" 식당에서 감탄했던 '그 김치'…알고 봤더...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현금 6억 든 어르신들이 TV 보고 찾아와"…집값 들썩이는 비규제 지역[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709440681693_1761525846.jpg)
















![[기자수첩]북극항로 개척하려면 사무관 1명으론 안된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381821540A.jpg)
![[기자수첩]'정품 보증서'로 둔갑한 관세행정 서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584899900A.jpg)
![[블룸버그 칼럼]금 FOMO 트레이드, 이미 늦었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810435740741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