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025국감]이공계 육성 앞장선 4대과기원, 정부 예산 제한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최수진 의원 "기관운영비 지원 턱없이 부족"
GIST 예산 중 정부 지원분이 42.7%
QS·THE 세계대학랭킹서 KAIST 제외 모두 하락

이공계 인력 양성에 주력 중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4대 과학기술원의 정부 지원 예산이 전체 운영 예산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5국감]이공계 육성 앞장선 4대과기원, 정부 예산 제한적
AD
원본보기 아이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은 24일 대전 한국정보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4대 과기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파악한 결과 전체 과기원 예산 2조2486억원 중 정부 지원은 전체 27.7%인 6241억원에 그쳤다고 밝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예산 2735억원 대비 정부출연금 1185억원으로 정부 지원분이 42.7%에 이르렀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2700억원 대비 42.2%,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3481억원 대비 30.4%를 지원받았다.

가장 규모가 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조3570억원 대비 20.5%로 가장 낮았다. 규모가 작은 과기원일수록 정부의 지원금 의존도가 높았던 셈이다.


최 의원은 국가 연구개발(R&D)을 위해 과기원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지만, 기관 운영을 위한 인건비 지원 예산도 83%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6년간 4대 과기원에서 자원 퇴직한 교원만 16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IST는 이 기간 70명이 이직해 전체 교원 대비 20%가 이직했다. DGIST도 26명(16.7%), GIST 17명(8.6%), KAIST 49명(7.3%) 순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4대 과기원 중에서도 KAIST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최 의원은 4대 과기원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UNIST는 외부 수탁 연구비 70% 이상을 인건비, 경상비 등 기관 운영 예산에 쓰는 등 간접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연구 재투자 등 연구경쟁력도 떨어지고 있다고 최 의원은 강조했다.


그 결과 지난해 QS 세계대학 랭킹에서 KAIST는 53위를 기록했지만, UNIST는 280위 DGIST는 326위, GIST는 359위에 그치고, THE 세계대학 랭킹에서도 KAIST가 82위, UNIST가 201~250위, DGIST가 351~400위, GIST가 401~500위에 그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3년간 교원 창업기업 실적에서도 KAIST는 31개, UNIST 19개, GIST 10개, DGIST 5개로 65개에 불과하다고 최 의원은 덧붙였다.


최 의원은 "4대 과학기술원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인재 양성과 국가 연구개발의 허브인 만큼 정부의 지원 규모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종민 테크 스페셜리스트 cinqang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