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기후위기 어쩌나…"2024 세계 석탄 사용량 사상 최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기후 행동 현황 보고서 발표

지난해 전 세계 석탄 사용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기후단체 체제전환연구소(Systems Change Lab) 등은 이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기후 행동 현황(The State of Climate Action)'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보고서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사용이 급속도로 확대됐음에도 작년 석탄 사용량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태양광 등을 중심으로 전력 수요 자체가 늘면서 석탄 소비가 줄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만 석탄 소비 비중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전력원으로 사용되는 석탄 비중은 2019년 37%, 2023년 35%에서 작년 34%로 소폭 하락했다. 반면 태양광·풍력 비중은 같은 기간 13%에서 15%로 상승했다.

장기적으로 국제사회가 목표로 정한 지구의 기온 상승 폭(섭씨 1.5도)을 유지하려면 탄소의 순 배출량을 '0'으로 맞춰야 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의 사용을 더 줄여야 한다는 뜻이다. 195개국은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COP21)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표면의 평균기온 상승 폭을 장기적으로 1.5도 이내로 유지하기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트럼트 정책, 기후위기 심화"

세계자원연구소(WRI) 클레아 슈머 연구원은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는 방향은 맞지만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다"라며 "석탄 사용량이 계속 늘면 '1.5도' 목표를 이룰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반(反) 재생에너지 정책을 기후 위기를 심화할 수 있는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추진하는 '넷제로(net zero) 프레임워크' 찬성 국가들을 관세 등으로 보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8월 내각회의에서 풍력 발전을 도입하는 국가들을 언급하며 "난 그들이 화석연료로 돌아가기를 바란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난달 뉴욕에서 열린 유엔 총회에서는 "기후 변화는 희대의 사기극"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태양광·풍력 발전 속도 두배 이상으로 끌어 올려야"

보고서는 재생에너지의 빠른 성장세는 좋은 소식이라며 특히 태양광을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원'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2030년대 말까지 세계가 탄소 배출량을 목표한 수준으로 줄이려면 태양광·풍력 발전 증가 속도를 두배 이상으로 끌어 올려야 한다고 했다. 건물 난방, 철강 생산 등은 탄소 배출 개선 실적이 저조한 분야로 지목됐다. 또 도로·운송 부문은 최근 전기차 사용이 늘면서 전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산림·습지 등의 훼손도 우려했다. 작년 회복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훼손된 산림은 800만ha(헥타르·1㏊는 1만㎡)에 달했는데 이는 2021년 훼손 규모(780만ha)보다 더 늘어난 것이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