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재능도 능력자본”...재능교환으로 자기계발 나선 MZ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당근, 3분기 재능 교환 게시물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

직장인 김상진씨(33)는 어렸을 때 쳤던 피아노를 다시 배우고 싶어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에 글을 올렸다. '축구를 가르쳐줄 테니 피아노 연주를 알려달라'는 내용이었다. 김씨는 이러한 재능 교환에 관해 "재능도 능력 자본이고, 돈 없이 각자의 재능을 나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남는 시간에 능력도 하나 더 갖출 겸 유의미한 일을 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 '재능교환' 모임에 올라온 글. 당근 캡처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 '재능교환' 모임에 올라온 글. 당근 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각자가 가진 재능을 교환하며 새로운 취미를 배우려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늘고 있다.


28일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재능 교환 관련 게시글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능 교환을 구하는 또 다른 플랫폼인 '레슨 인포'에도 최근 3년간 해마다 50~60건의 재능교환 글이 올라왔다.

이런 재능 교환 문화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MZ세대들이 자기계발 비용을 줄이려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잡플래닛이 직장인, 휴직·구직자, 대학생 등 32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기계발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들의 14.3%는 비용 부담을 이유로 꼽았다.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더 쉽게 배울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당근을 비롯한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프로그래밍을 알려줄 테니 그림을 배우고 싶다'거나 '작곡을 가르쳐주면 PT(퍼스널트레이닝)를 알려주겠다' 등의 글이 다수 올라와 있다.


향후 이직 등 커리어를 고려해 재능 교환을 원하는 이들도 있다. 직장인 최원호씨(30)는 "회사에서 배운 웹 개발 능력을 이용해 서로 맞교환 식으로 배우면 윈윈일 것 같다"며 "개발자로 전직할 계획이 있어 파이선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이런 세태에 대해 전문가들은 취미 동호회가 유행하던 시절에서 한 단계 나아가 품앗이와 유사한 형태로 진화한 것으로 진단했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소통 개방성을 띤 생활 밀착형 지역 플랫폼을 활용해 신뢰성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활동"이라며 "젊은 세대가 각자 가지고 있는 재능을 교환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원하는 목적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실용 세대'로서의 특징이 맞물린다"고 설명했다.





이은서 기자 libr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