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또 미국 찾은 김용범 "한미 관세협상 마지막 단계…쟁점 한두 개 남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방미
APEC 전 러트닉 장관과 최종 담판
"미국 우리 입장 이해해주면 좋은 결과 예상"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2일(현지시간) 한미 관세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으며, 한두 가지 핵심 쟁점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김 실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양국이 지난 몇 주간 매우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태도로 주요 쟁점에 대해 진지한 논의를 진행했다"며 "(협상이) 꽤 마지막 단계에 와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국을 찾았다. 지난 16일 미국 측 협상 카운터파트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회담을 마치고 각각 19일, 20일 귀국했으나 협의 내용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추가 논의를 위해 다시 방미했다.


협상 진전 여부에 대한 질문에 김 실장은 "많은 주제에서 의견이 상당히 가까워졌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는 큰 입장 차가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에 잠정 합의된 부분이 논의 과정에서 후퇴할 수 있어 조심스럽다"면서도 "많은 쟁점에 대한 이견이 조율이 됐고, 미국이 이번에 우리 입장을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핵심 쟁점은 우리가 약속한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이다. 한국은 직접 투자 비중을 줄이고, 투자 기간을 최대한 늘리려는 입장인 반면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임기 내 현금 투자를 최대한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다만 최근 미국 측이 기존 입장을 일부 완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투자 기간 확대 등 개별 쟁점과 관련해 "우리가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진행돼야 하고,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충격이 커서는 안 되는데 그게 다 서로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은행이 제시한 대미 투자 시 외환시장 안정성 기준(연 150억~200억달러)과 관련해서는 "각 기관과 미국 측 모두 분석이 있어 이를 놓고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방미 일정에서 김 실장과 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과 최종 담판을 지은 뒤 애틀랜타를 거쳐 곧바로 귀국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남은 쟁점 협상과 관련해 화상보다는 직접 (대면)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이번 방미 배경을 설명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말 큰 틀의 무역 합의에 이르렀지만 대미 투자 패키지 세부 이행 방안을 놓고 입장 차이를 보이면서 협상을 일단락짓지 못했다. 이에 따라 다음 주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합의 내용을 문서화하기 위한 막판 조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