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구글·퀄컴, '안드로이드 XR' 동맹 결성
구글 제미나이 기반 멀티모달 AI, 일상형 XR 경험 구현
269만원 출고, 애플 ‘비전 프로2’ 절반 수준
10월 22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 갤럭시 XR 출시 브리핑 현장에서 한 직원이 기기를 체험하는 모습. 갤럭시 XR을 착용한 직원 뒤에는 미러링 된 화면이 나와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22일 헤드셋형 XR(확장현실) 기기 '갤럭시 XR'을 출시하며 스마트글라스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삼성전자와 구글, 퀄컴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처음 탑재한 제품으로, 현실과 가상을 오가며 음성·시선·제스처로 제어하는 새로운 AI 경험을 제공한다. 경쟁사 애플의 '비전 프로'와 정면으로 맞붙는 디바이스로, 단순한 하드웨어 경쟁을 넘어 삼성이 AI와 XR을 결합한 미래형 컴퓨팅 기술력을 증명하는 무대로서의 의미가 크다.
삼성전자는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갤럭시 XR 사용법을 시연했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갤럭시 XR은 AI 시대를 여는 혁신의 시작"이라며 "일상 속에서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갤럭시 XR은 퀄컴 '스냅드래곤 XR2+ 2세대' 칩셋을 탑재해 머리·손·눈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인식한다. 무게는 545g, 외부광 차단 패드와 도수형 인서트 렌즈(가격 14만원)도 지원한다. 현실 공간을 그대로 비추는 '패스 스루(Pass Through)' 기능을 통해 XR과 현실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출고가는 269만원으로, 22일(현지시간) 출시되는 애플 '비전 프로2'(499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현실-가상 넘나드는 '시선·손짓·음성 제어'
이날 브리핑장에서 이뤄진 현장 시연은 "이제 눈으로 보고, 말하고, 손짓하면 된다"는 말 그대로였다. 직원이 헤드셋을 착용한 후 구글지도를 실행하자 눈앞에지도 공간이 펼쳐졌다. 그가 "제미나이(Gemini), 피자 맛집 찾아줘"라고 말했고, 공중에 검색 결과가 나타나며 AI가 "뉴욕 맨해튼의 '캐스트 피자'로, '뉴욕 매거진'이 뉴욕주 최고 피자로 선정한 곳입니다"라고 답했다. 직원이 손가락으로 집게 모양을 만들어 '내부 둘러보기 버튼'을 누르자 눈앞에는 3D로 재구성된 매장 내부가 펼쳐졌고, 사용자는 고개를 돌리며 실제 공간처럼 둘러볼 수 있었다. 리모컨도 마우스도 필요 없었다.
삼성 관계자는 "눈과 손, 음성으로 기기를 제어하고, 동시에 제미나이가 시야 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해하는 '멀티모달 AI'가 핵심"이라며 "이전 세대의 VR과는 완전히 다른 사용자 경험"이라고 설명했다.
AI가 대화하고, 영상 만들고, 게임 전략까지 제안
시연은 일상형 콘텐츠에서 창작형·게임형 시나리오로 이어졌다. 직원이 "조선시대에 여러 동물들이 나와서 가상현실 기기를 쓰고 안경도 쓰고 다 같이 신나게 춤추며 파티하는 모습을 만들어줘"라고 말하자, 제미나이는 몇 초 만에 가상 동물들이 춤추는 조선시대 배경의 영상을 생성했다. AI가 사진과 영상에서 기기 정보를 추출해 여러 층의 입체감을 만들어 자동으로 구현하는 기능이다.
게임 시연에서는 인기 농장게임 '스타듀 밸리'가 등장했다. 사용자가 "이 게임 처음인데 뭐부터 하면 돼?"라고 묻자, 제미나이는 "주변의 바위와 잡초를 먼저 정리해보세요"라고 답했다. 이어 "장기 전략을 알려줘"라고 요청하자, AI는 웹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해 알려줬다. 삼성 관계자는 "AI가 단순히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몰입감 있는 개인 경험을 상시로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엔터테인먼트 경험도 기존 TV·스마트폰과는 달랐다. 유튜브 콘텐츠를 눈앞의 '가상 영화관'처럼 감상할 수 있고, 스포츠 중계에서는 여러 경기를 동시에 띄워보는 '멀티뷰' 모드가 지원됐다. MLB·NBA 등 글로벌 스포츠 리그도 즐길 수 있다.
삼성·구글·퀄컴 협력해 XR 생태계 구축
삼성은 갤럭시 XR을 단일 제품을 넘어 AI와 XR이 결합한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의 출발점으로 보고, 판매량보다 생태계 구축에 의미를 두고 있다. 임 부사장은 "XR 시장은 내년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구글, 퀄컴과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은 AI를 기반으로 헤드셋부터 AR 글라스 등 다양한 폼팩터로 확장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이다.
김기환 삼성전자 MX사업부 부사장은 "구글, 퀄컴과 함께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시장 진출 전략까지 모든 단계를 '원팀'으로 진행했다"며 "무한한 가능성을 열 수 있다고 판단해 프로젝트 이름도 '무한(Infinite)'으로 지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향후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다양한 폼팩터로 확장할 계획이다. 임 부사장은 "스마트글라스는 패션과 시력, 유통채널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합 제품"이라며 "젠틀몬스터, 와비파커 등 아이웨어 브랜드와 협력해 열심히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XR은 그 첫걸음이며, 안드로이드 XR의 확장성은 처음부터 이 같은 로드맵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고 덧붙였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국민 음료라 믿었는데"…의학 교수가 던진 '충격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한국인들 미쳤다"…라이브 방송서 '이것' 한 입 먹더니 극찬한 팝스타 [특징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2543780113_1761278078.jpg)





![[특징주]SAMG엔터, 리사 '하츄핑' 인증샷에 27%대 급등](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123679742_1761268355.jpg)









![[초동시각]국립대병원이 '지역·공공의료' 지키려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314631885A.jpg)
![[기자수첩]'편면적 구속력' 도입이 불안한 이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461757219A.jpg)
![[리셋정치]실장 외교, 참모 정치의 명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4284062386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