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히잡 안쓰고 어깨 훤히 드러내고" 고위층 딸 결혼식에 이란 '발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뒤늦게 유출된 결혼식 영상에 논란 커져
"여성만 있던 결혼식 모임" 고위층 해명
2022년 히잡 착용 두고 반정부 시위도

여성의 공공장소 히잡 착용이 의무인 이란에서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체포돼 구금 중 사망한 사건까지 일어난 가운데, 한 고위층의 자녀가 히잡은커녕 어깨가 훤히 드러나는 드레스를 입고 결혼식을 올리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연합뉴스는 이란 인터내셔널 등 외신을 인용해 최근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정치 고문인 알리 샴카니 소장의 딸 결혼식 영상이 이란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고 보도했다.

여성의 공공장소 히잡 착용이 의무인 이란에서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체포돼 구금 중 사망한 사건까지 일어난 가운데, 한 고위층의 자녀가 히잡은커녕 어깨가 훤히 드러나는 드레스를 입고 결혼식을 올리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 X(엑스)

여성의 공공장소 히잡 착용이 의무인 이란에서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체포돼 구금 중 사망한 사건까지 일어난 가운데, 한 고위층의 자녀가 히잡은커녕 어깨가 훤히 드러나는 드레스를 입고 결혼식을 올리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 X(엑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샴카니의 딸은 흰색 웨딩드레스를 입은 채 아버지 팔짱을 끼고 연회장에 들어선다. 웨딩드레스는 어깨끈 없이 가슴이 깊게 파인 디자인이다. 하객이 다수 있는 자리였지만, 샴카니의 딸은 면사포만 머리에 얹었을 뿐 히잡을 쓰지 않았다. 결혼식에 참석한 다른 여성들은 히잡을 착용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샴카니의 딸은 지난해 4월 테헤란 에스피나스 팰리스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은 결혼식 이후 뒤늦게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영상이 어떻게 유출됐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하객 중 한 명의 휴대전화가 도난당해 유출됐다거나, 한때 샴카니의 측근이었던 인물이 그를 망신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퍼뜨렸다는 등 소문만이 무성한 상황이다. 일각선 이란과 적대 관계인 이스라엘 측이 휴대전화를 해킹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이들도 있다. 출처를 막론하고 이번 영상은 이란 고위층의 '내로남불' 논란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히잡 착용 두고  반정부 시위까지 일었던 이란, 처벌 규정은 '여전'

이란은 형법을 통해 여성의 공공장소 히잡 착용을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2022년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단 이유로 도덕 경찰에 끌려간 뒤 구금 중 사망한 마흐사 아미니 사건으로 전국적인 반정부 시위가 일었으나, 처벌 규정이 바뀌진 않았다. 되레 최근엔 테헤란에서 히잡을 벗는 여성이 늘어나고 있다며 공공장소 복장 규정을 단속하기 위해 인력 8만명을 추가 투입하겠다는 이란 정부 발표가 나온 바 있다.

샴카니의 딸은 지난해 4월 테헤란 에스피나스 팰리스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은 결혼식 이후 뒤늦게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X(엑스)

샴카니의 딸은 지난해 4월 테헤란 에스피나스 팰리스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은 결혼식 이후 뒤늦게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X(엑스)

원본보기 아이콘

망명 중인 이란 반체제 인사 마시 알리네자드는 SNS를 통해 "이슬람 공화국의 최고 집행자 중 한 명인 알리 샴카니의 딸이 어깨끈 없는 드레스를 입고 호화 결혼식을 올렸다"며 "반면 이란의 여성들은 머리카락을 드러냈다는 이유로 폭행을 당하고, 젊은이들은 결혼할 돈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알리 파톨라네자드 중동·글로벌 질서 센터 소장는 "이 정권은 물 마시라고 설교하면서 자신들은 포도주를 마시는 체제"라며, "이 일은 이슬람 공화국과 그 지배 엘리트에 내재한 노골적 위선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글로벌거버넌스센터 연구원인 파르잔 사베트는 이란 부유층 사이에서 웨딩드레스를 입은 서양식 결혼식은 흔히 볼 수 있다면서도 "샴카니가 젊은 여성들의 사회적 자유를 요구하는 시위를 진압하는 일을 총괄했으면서, 정작 그의 가족은 자신들이 원하는 사회적 자유의 혜택을 누린다는 점에서 위선이 엿보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람들은 샴카니와 그의 자녀가 대규모 제재 회피 네트워크에 깊이 관여해 있고, 거기에서 이익을 빼돌린다고들 추정한다"고 했다.


다만, 일부 친정부 성향 인사들은 당시 연회장에 여성들밖에 없었다며 샴카니 딸의 복장이 문제 되지 않는다고 옹호했다. 에자톨라 자르가미 전 문화유산부 장관은 "완전히 사적인 여성들만의 모임이었다"며 "신부의 아버지가 관습에 따라 고개를 숙인 채 딸의 손을 신랑의 손에 얹어 주는 장면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샴카니는 딸 결혼식 영상 논란에 대한 현지 취재진 질문에 욕설하며 "난 아직 살아 있다"고 답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