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없으면 대화 못하는 Z세대
회의 전 챗봇으로 대화 리허설…소통불안 확산
"진짜 대화, AI 시대 가장 희귀한 능력"
영국의 젊은 직장인 절반 가까이가 인공지능(AI)의 도움 없이 동료와 대화하기 어렵다고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비대면 근무와 AI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진짜 대화'가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영국의 Z세대 직장인 절반 가까이가 AI의 도움 없이는 동료와 대화하기를 두려워한다는 조사 결과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 내 16~28세 청년층은 회의나 네트워킹 행사에 참석하기 전, 챗GPT(ChatGPT)나 구글 제미나이(Google Gemini) 같은 AI 챗봇을 이용해 대화를 미리 연습하거나 문장을 다듬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구직 플랫폼 '노바(Nova)'가 영국, 스코틀랜드, 웨일스 지역의 Z세대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당 조사에서 응답자의 45%는 '직장 내 대화 준비에 AI를 정기적으로 활용한다'고 답했으며 응답자 40%는 'AI 덕분에 자신감이 생긴다'고 응답했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은 25%에 불과했다.
성별 차이도 뚜렷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AI를 더 자주 사용했지만 여성의 52% 역시 이메일이나 업무용 메시지를 작성할 때 AI의 도움을 받는다고 밝혔다. 재택근무 확산 이후엔 젊은 직장인의 40%가 '대화 소재가 떨어질 때를 대비한 안전장치'로 AI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접 대면하기 두려워"…Z세대 소통 불안에 AI 의존
조사에 따르면 Z세대 근로자의 3분의 1 이상(약 35%)은 회의 참석 전 AI가 준비해준 '아이스 브레이킹 농담'을 미리 외운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33%는 실제 만남 전에 챗봇과의 '가상 대화'를 연습하며 반응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AI를 의존하는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60%는 '사람을 직접 대면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9%는 '현실에서의 가벼운 대화(스몰토크)가 불안하다'고 답했으며 응답자 4명 중 1명은 'AI 없이 회의나 대화를 준비할 자신이 없다'고 응답했다.
노바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안드레아 마리노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원격근무, AI 확산이 젊은 세대의 소통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았다"며 "온라인으로는 그 어느 때보다 연결돼 있지만 현실에서는 자신감이 현저히 떨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끊임없이 연결된 시대일수록 '진짜 대화'가 가장 희귀한 능력이 됐다"며 "이 능력을 갖춘 사람이 결국 AI보다 더 앞서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의 스피치 전문가이자 작가 수지 애시필드는 "소통의 자신감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쌓는 것"이라며 "화면 뒤에 숨을수록 명료하게 말할 능력은 떨어진다"고 경고했다. 그는 "전화기를 들고, 미팅에 참석하고, 직접 대화를 시작하라"며 "현실에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결국 돋보인다"고 조언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국민 음료라 믿었는데"…의학 교수가 던진 '충격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한국인들 미쳤다"…라이브 방송서 '이것' 한 입 먹더니 극찬한 팝스타 [특징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2543780113_1761278078.jpg)





![[특징주]SAMG엔터, 리사 '하츄핑' 인증샷에 27%대 급등](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123679742_1761268355.jpg)









![[초동시각]국립대병원이 '지역·공공의료' 지키려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314631885A.jpg)
![[기자수첩]'편면적 구속력' 도입이 불안한 이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461757219A.jpg)
![[리셋정치]실장 외교, 참모 정치의 명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4284062386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