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준비기간에도 TF 총력 가동·직접 프레젠테이션… 충남 유일 선정 '청양형 모델' 전국 모범 주목
김돈곤 충남 청양군수가 또 한 번 성과를 냈다. 정부가 전국 4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서 청양군이 충남에서 유일하게 최종 선정됐다.
불과 2주 남짓한 짧은 준비기간에도 전담 TF를 꾸려 총력 대응하고, 김 군수가 직접 프레젠테이션에 나서며 '리더십 행정'의 진가를 보여줬다.
청양군은 정부가 추진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전국 49개 지자체 중 단 7곳만이 선정된 가운데, 충남에서는 청양이 유일하게 이름을 올리며 주목받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인구감소지역 주민에게 매월 15만 원씩 2년간 지급해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순환을 촉진하는 정부 핵심 공모사업이다.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시범정책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지난 16일 서류평가를 통해 12개 군을 예비 선정한 뒤, 17일 발표평가를 통해 최종 7곳을 확정했다. 이 과정에서 김돈곤 군수가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며 청양군의 정책 비전과 실행계획을 논리적으로 제시해 심사위원단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 군수는 발표 기획과 자료 구성, 정책 논리 정리까지 전 과정을 직접 진두지휘했다.
그는 청양이 추진 중인 '다(多)-돌봄 체계'와 '스마트(SMART) 범군민 운동'을 농어촌 기본소득 모델에 정교하게 접목시키며 '사람 중심의 지역 순환경제' 구상을 완성도 높게 제시했다는 평가다.
'다-돌봄 체계'는 세대 간 상호 돌봄을 중심으로 청년·노인·취약계층을 연결해 생활안정과 공동체 회복을 도모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범군민 운동'은 주민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참여형 디지털 캠페인으로, 청양의 대표 민선 8기 혁신정책이다.
특히 군은 정부 공모 공지 후 불과 2주 만에 부군수를 단장으로 한 TF를 긴급 구성하고, 주말·야간·연휴까지 반납하며 대응체제를 가동했다. 추석 연휴 기간에도 실무진이 밤샘 검토를 이어가는 등 '행정력 총집중'으로 일관했다.
이 같은 강력한 추진력과 준비 과정이 최종 평가에서 결정적인 힘이 됐다. 군은 사업계획서의 논리성·현장성·실행력 부문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아 전국 7개 선정 군 중에서도 우수사례로 꼽혔다.
김돈곤 군수는 "이번 선정은 행정과 군민이 함께 만들어낸 결과이자, 민선 8기에서 준비해온 정책적 기반이 현실로 이어진 값진 결실"이라며 "청양형 기본소득 모델이 지역의 활력을 되살리고 인구감소를 막는 실질적 해법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내년 상반기부터 조례 제정, 대상자 등록, 시스템 구축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읍·면별 '기본소득 도우미'를 배치해 주민 편의를 높이고, 사업 시행 전에는 주민설명회를 통해 제도의 취지와 운영방안을 안내할 계획이다.
충청취재본부 이병렬 기자 lby442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