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게 1만5000원짜리 철판오징어, 절대 먹은 거 아냐" 제주서 또 바가지 논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시장 여행객 제보 확산…'바가지논란' 비판
순대볶음·부실김밥 이어 흑돼지까지 논란 계속

제주 서귀포시의 한 시장에서 판매된 철판 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지나치게 적다는 소비자 제보가 확산하며 또 한 번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제주 한 시장에서 '바가지 논란'에 휩싸인 철판오징어의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제주 한 시장에서 '바가지 논란'에 휩싸인 철판오징어의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AD
원본보기 아이콘

2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제주 XX시장에서 철판 오징어 중자를 주문했는데 양이 터무니없이 적었다"는 여행객 A씨는 "중자 가격이 1만5000원이나 됐는데 실제로 받아보니 반만 준 것 같았다"며 "관광지라고 해도 이건 너무 양심이 없는 장사"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는 "앞에서 불쇼를 하며 시선을 끌더니 시끄럽게 장사하더라. 혹시 그사이에 (내용물을) 빼돌린 건지 모르겠다"며 "이렇게 관광객 많은 곳에서 양심을 팔며 장사하는 게 이해가 안 된다"고 비판했다.

A씨는 "먹다 남긴 게 아니라 숙소에 와서 포장을 열어봤을 뿐인데 양이 이 정도였다"며 "다른 분들은 꼭 받자마자 앞에서 확인하시라"고 당부했다.


그가 공개한 사진에는 작은 종이상자 안에 오징어 다리 몇 개와 마요네즈 소스가 묻어있는 음식이 담겨있었다. 해당 사진을 본 누리꾼들은 "장사하는 사람의 시선에서 봤을 때 한번 오고 말 사람이라는 생각에 저렇게 파는 것", "몸통은 다 먹고 다리 부스러기만 준거냐", "무슨 저런 찌꺼기를 줬나"라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나 최근 제주 지역을 둘러싼 '바가지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관광객을 호구로 보는 상술은 제주에서는 근절이 불가다", "양파 같은 제주 까도 까도 또 나와" 등 날 선 댓글을 남기며 제주도의 반복되는 바가지 논란과 상술을 비판하는 반응도 나왔다.

관광객 늘어도 '바가지 논란' 반복
비계가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는 제주 한 흑돼지 전문점의 목살 상태. 온라인 커뮤니티

비계가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는 제주 한 흑돼지 전문점의 목살 상태. 온라인 커뮤니티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제주에서는 지난 18일 제주 흑돼지 전문점에서 "고기를 주문했는데 절반이 비계였다"는 제보가 퍼지며 또다시 부실 음식 논란에 휩싸였다. 게시글 작성자가 공개한 사진에는 총 두 덩이의 목살이 나왔는데 이 중 한 덩이가 통째로 비계였다. 함께 나온 오겹살 역시 살코기보다 비계가 고기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모습이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저걸 먹으라고 준 거냐"며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상술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난 4월 전농로 왕벚꽃 축제에서는 순대 6개가 들어간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해 '바가지 논란'을 일으켰고 지난 10일 '탐라문화제'에서는 4000원에 판매된 김밥이 속 재료보다 쌀밥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은 모습을 보이며 또다시 논란이 이어졌다.


한편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9일까지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061만318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감소했지만 6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33만9926명이 제주를 방문해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또한 올해 제주를 찾은 크루즈 관광객은 64만명을 돌파해 지난해 전체 규모를 이미 넘어섰다. 이러한 관광 회복세 속에서도 여전한 제주도의 '바가지 논란'에 관광객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