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음식 이름에 '마약' 넣지 말래도…아직도 '마약XX' 사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지난해 7월 '식품표시광고법' 개정
시행 후 35% 감소…142곳은 사용 중

기사 특정 내용과 무관한 한국 분식 이미지. 펙셀스

기사 특정 내용과 무관한 한국 분식 이미지. 펙셀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마약' 단어를 음식점 상호에 넣거나 제품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월 식품표시광고법' 개정을 통해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했음에도 유의미한 감소율을 확인하지 못하면서 사회적 경각심이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마약 용어가 들어간 상호 현황' 자료에 따르면 '마약떡볶이', '마약치킨' 등 마약을 상호로 사용하는 음식점은 142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34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15개소, 경북 12개소, 경남 11개소, 충북 11개소 순이었다.


지난해 7월 '식품표시광고법' 개정으로 마약류 및 유사 표현을 식품 표시·광고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권고됐지만, 법 시행 직후인 같은 해 8월 217개소였던 마약 상호 음식점 수는 올해 6월 142개소로 줄어 35% 감소에 그쳤다. 같은 기간 제품명에 마약을 포함하는 식품은 20개에서 12개로 40% 줄었다.


또 간판, 메뉴판 등 교체 비용을 지자체가 보조하거나 식품진흥기금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지만, 서울, 경기, 인천 등 6개 지자체에서 17개소만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약 용어사용 자제 캠페인 포스터.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약 용어사용 자제 캠페인 포스터. 식품의약품안전처

원본보기 아이콘

남인순 의원은 "마약떡볶이, 마약치킨처럼 청소년과 어린이가 즐겨 먹는 음식에 마약 표현이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다"라며 "일상 속 마약 표현의 반복 노출은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사회적 경각심을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세 자영업자들이 자발적으로 간판과 메뉴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