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국가면 맛집 투어 제일 하고파"…무조건 '불고기' 외치던 외국인들, 싹 바뀌었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관광공사 "한국인의 일상 음식 온라인서 확산"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음식 소비 형태가 한국인의 전통 한식에서 일상 속 K푸드로 확장되고 있다고 한국관광공사가 20일 밝혔다.


관광공사는 2018년부터 2025년 7월까지 외국인 신용카드 소비 건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과거 외국인에게 한국 음식은 김치, 불고기, 비빔밥과 같은 전통 메뉴가 대표적이었다면 최근에는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 한국인의 일상 음식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광공사는 한국인의 일상 음식이 온라인을 통해 확산하고 있다며 외국인에게 음식은 단순한 끼니를 넘어 문화와 일상을 경험하는 특별한 여정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한국관광공사는 20일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음식 소비 행태가 김치, 불고기, 비빕밥 등의 전통 한식에서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 일상 음식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관광공사는 20일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음식 소비 행태가 김치, 불고기, 비빕밥 등의 전통 한식에서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 일상 음식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2024년 잠재 방한 여행객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이 한국 방문 시 가장 하고 싶은 활동은 '맛집 투어(15.7%)'로 조사됐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카드 결제 데이터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가장 높은 메뉴는 아이스크림(35.0%), 편의점 음식(34.0%), 와플·크로플(25.5%)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에게 친숙한 햄버거, 빵, 커피 등의 결제 건수도 소비 데이터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카페(890만 건), 베이커리(300만 건), 햄버거(230만 건) 순으로 결제 건수가 많았으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성장률 역시 각 29.5%, 36.2%, 38.2%로 상위권에 올랐다. 아울러 한국에서는 한정판, 협업 제품, 지역 특산물 토핑 등 한국식 변주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 것으로 확인된다. 햄버거 결제가 이루어진 상위 10개 브랜드 중 6개가 국내 프랜차이즈였으며 글로벌 브랜드도 한국에서만 맛볼 수 있는 전용 메뉴와 특색있는 매장을 선보이며 외국인을 끌어들이고 있다.


편의점 또한 진화하고 있다. 외국인들은 편의점을 단순히 접근성 높은 쇼핑 장소라기보다 라면부터 간식까지 고를 수 있는 '여행 메뉴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분석한 결과, 편의점 관련 게시물의 40.1%가 음식과 연결돼 있었으며, 주요 키워드는 라면(14.1%), 커피(10.5%), 과자(7.0%)로 확인됐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편의점 카드 결제 건수는 약 1300만 건으로 K푸드 업종 중 가장 많은 숫자를 나타냈다.

한국인에게는 평범한 일상식이지만, 외국인에게는 쉽게 경험하기 어려운 특별한 한 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국수·만두(55.2%), 감자탕(44.0%)은 올해 7월 기준으로 전년동기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메뉴로 확인됐다. 전통 간식도 소셜미디어 확산과 함께 재조명되면서 떡·한과 소비가 76.9% 성장했다. 특히 해외 SNS에서 유행한 '꿀떡 시리얼'은 30만건 이상의 '좋아요'를 기록하며 국내 기업의 신제품 출시로 이어지기도 했다.


관광공사 이미숙 관광데이터전략팀장은 "최신 트렌드가 전 세계적으로 실시간 공유되면서 한국인의 일상이 외국인에게 새로운 경험으로 확산되고, 다시 한국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이 관광업계에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관광공사는 이러한 변화를 선제적으로 포착해 관광정책 및 인바운드 마케팅 수립 등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