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두뇌 전성기' 20대가 아니다…'이 나이'가 정점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55~60세, 기억력 줄어도 판단력·감정 지능 향상
복합적 사고와 리더십 능력 가장 뛰어난 시기

기억력과 정보 처리 속도 등 일부 인지 기능은 20대 중반 이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한 연구는 이 같은 생각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육체적인 반사 능력이나 속도는 감소하더라도, 인간의 종합적인 정신 기능은 오히려 중년 후반인 55세에서 60세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는 분석이다.


'두뇌 전성기' 20대가 아니다…'이 나이'가 정점
AD
원본보기 아이콘

해당 연구는 심리학 및 지능 연구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저널 인텔리전스(Intelligence)에 실렸으며,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의 질 E. 지냑 부교수가 주도했다.

연구진은 기존의 대규모 인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간의 인지 능력, 성격 특성, 감성 지능 등을 아우르는 16가지 심리적 요소를 정밀 분석했다. 이에는 기억 용량, 문제 해결 능력, 판단력, 도덕적 사고, 금융 이해력, 성실성, 감정 조절력 등이 포함된다.


그 결과, 젊은 층이 빠른 속도와 민첩성을 자랑하는 반면, 중년기에는 감정 조절, 신중한 판단, 리더십 등 복합적 정신 능력이 최정점에 이른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성실성은 평균적으로 65세 무렵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정서적 안정성은 75세, 인지 편향 제어력은 80대까지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전반적인 정신 능력을 종합한 결과, 55세에서 60세 사이가 인간의 정신적 능력이 가장 조화롭게 발현되는 시기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단순히 '두뇌 회전'의 빠르기를 기준으로 한 전통적인 인지 능력 측정 방식을 넘어, 실제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복합적 사고력과 통찰력을 중시한 것이 특징이다.


지냑 교수는 "중년은 경험과 감정 조절, 인간 이해력이 조화를 이루는 시기로, 조직 내에서 전략적 사고와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최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실제로 기업, 정치, 공공기관 등 주요 의사결정 구조에서 50~60대가 리더로 활약하고 있는 이유를 뒷받침하는 과학적 설명이기도 하다.


이번 연구는 단순히 나이가 많아지면 지능이 낮아진다는 오랜 통념을 반박하며, 고령자의 재취업이나 정년 연장과 관련된 사회적 논의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지냑 교수는 "신체적 능력은 청년기에 절정에 이르지만, 정신적 능력은 나이를 거치며 더욱 깊어지고 강해진다"며 "많은 이들이 노화를 두려워하지만, 오히려 기대할 만한 지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