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속도만으로 요금제 선택 가능할듯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의 세분된 요금제를 합한 통합 요금제의 연내 출시가 준비되고 있다. 이동통신 3사의 요금 상품이 700여개에 달해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방해한다는 비판이 커지면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통신 3사가 현재 운영 중인 요금제는 718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통신 3사가 현재 가입을 받는 요금제는 251개다. 알뜰폰(MVNO) 업체는 요금 관련 집계가 없는데, 알뜰폰까지 모두 합치면 요금제만 수천여개에 달하는 셈이다.
최 의원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나치게 복잡한 이동통신 요금제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이 어려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요금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 개편은 5G·LTE 기술 방식 구분 없이 데이터 용량이나 전송 속도에 따라 요금을 고를 수 있는 '통합 요금제' 방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LTE 요금제가 5G보다 비싸다는 지적에 통신사들이 LTE 요금제 절반 이상의 신규 가입을 중단한 뒤 기존 가입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아 상당수가 혜택을 놓치고 있었던 점이 최근 알려지기도 했다. 이에 요금제를 단순화하고 소비자들에게 알려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당국은 통신 3사와 통합 요금제 출시를 위한 마무리 작업 중으로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 의원은 "통신 3사의 요금 체계가 지나치게 복잡한 만큼 5G와 LTE 구분이 없는 통합 요금제 시행을 통해 가계 통신비를 줄이고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