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연봉 2억 줄게, 삼성·SK하닉 출신 환영"…대놓고 韓에 러브콜 보낸 '이 회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마이크론, 韓 HBM 인재 모시기 총력전
올해 한국 엔지니어에 전방위 오퍼

글로벌 3위 메모리반도체 기업 미국 마이크론이 한국인 엔지니어 모시기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 타이중 지역 팹(공장)에서 일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경력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원본보기 아이콘

대만 공장은 마이크론의 최대 D램 생산기지다. HBM 또한 이곳에서 생산된다.


채용 방식은 현지 헤드헌터가 링크드인에 게재된 엔지니어들의 이력과 프로필을 보고 접촉한 뒤 포지션을 제안하는 식이다. 대다수는 HBM, 패키징 관련 직무이며 일부 엔지니어에게는 임원급 직무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이 제안한 임원급 직무 연봉은 최대 2억원대(보너스 등 포함)로 추정된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노어 플래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노어 플래시

원본보기 아이콘

반도체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한국에 지사를 둔 외국계 반도체 장비업체, 디스플레이 업계 직원들에게도 이직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마이크론은 지난해 말 대만 타이중에서 일할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의 경력 면접을 경기도 판교 일대 호텔에서 진행한 바 있다. 원천징수 기준 10~20% 임금 인상, 거주비와 비자 프로세스 지원 등을 오퍼 조건으로 내놓았다.


마이크론의 이같은 행보는 현재 증설 중인 글로벌 거점 팹의 인원을 충원하고, D램에서 우위에 있는 한국 업체 엔지니어를 통해 HBM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실적발표에서 "2030년까지 HBM 시장이 1000억달러 규모로 커질 것"이라며 "HBM의 성장세는 일반 D램의 성장세보다 뚜렷하고 이 추세는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