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이재명 대통령 "국회에 추천 지시"
민주당 별 움직임 안 보이며 미뤄지는 분위기
국민의힘 "무소불위 권력 누리겠다는 선언"
■ 방송 : 아시아경제 '소종섭의 시사쇼'(월~금, 오후 4~5시)
■ 진행 : 소종섭 정치스페셜리스트 ■ 연출 : 박수민 PD
"권력은 권력을 가진 본인 안위를 위해서라도 견제받는 게 좋다.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을 국회에 요청하라고 해놨다."(이재명 대통령, 7월 3일) "명확하게 안이 안 나온 것으로 안다. 조율 중인 것으로 안다."(강유정 대변인. 8월 6일)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희 안의 회초리가 있어야 잘못된 것을 지적받고 대통령실이 투명하게 활동할 수 있다. 지지부진한 측면은 있지만, 진행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강훈식 비서실장, 8월 19일)
이재명 대통령이 약속한 '특별감찰관 임명'에 대한 대통령실의 지금껏 반응이다. 곧 임명될 것처럼 생각됐던 특별감찰관 임명에 이상 기류가 생긴 흐름이다. 오늘 '조선일보'는 민주당 지도부 핵심 의원의 말을 인용해 "올해 안에 추진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다"고 보도했다. 과거 문재인 윤석열 정부는 선거 과정과 집권 초에 특별감찰관 임명을 약속했으나 지키지 않았다. 이재명 정부도 같은 길을 걷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커졌다.
임기 3년인 특별감찰관은 여야 합의로 2014년 도입됐다. 2015년 이석수 초대 특별감찰관이 임명됐으나, 우병우 당시 민정수석에 대한 감찰 등으로 인해 갈등을 빚다가 2016년 사퇴했다. 제도는 살아 있었으나 그 이후 특별감찰관으로 임명된 사람은 없다.
특별감찰관은 대통령의 배우자, 대통령의 4촌 이내 친족, 대통령실의 수석비서관급 이상의 공무원을 감찰하는 게 직무다. 비리 의혹을 파악하면 지체 없이 검찰에 고발하는 독립적 권한을 갖기에 대통령의 측근 비리 등을 막을 수 있다. 대통령 주변 권력을 확실하게 견제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제도적 장치다. 정권 성향과 관계없는 중립적 인사를 임명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권력으로서는 부담스러운 존재 임이 분명하다.
※영상을 클릭하면 전체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지난 7월 이 대통령의 언급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던 '특별감찰관 임명'이 해를 넘길 조짐을 보이자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한 야권에서는 비판을 토해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차일피일 미루는 특별감찰관 추천은 무소불위 권력을 누리겠다는 선언이다. 김혜경 여사를 포함한 이 대통령의 친인척과 '문고리 권력'이자 '실세 중 실세'인 김현지 부속실장을 비롯한 최측근 인사들의 인사청탁, 금품수수, 권력남용 등과 같은 잡음이 언제 터져 나올지 모르는 마당에 이를 예방하고 담당할 특별감찰관 임명에 소극적인 것은 그 어떤 감시도 받지 않겠다는 선언과 같다"고 주장했다.
소종섭 정치스페셜리스트 kumkang2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