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일부 지역에서 실종·감금 범죄가 잇따르자
정부가 여행금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국내 여행사들은 관련 위험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채
여행 상품을 그대로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정부는 '여행금지', 여행사는 '출발 가능합니다' ]
외교부는 캄폿주 보코산, 바벳시, 포이펫시 등
일부 지역을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로 지정했습니다.
시하누크빌주는 3단계(출국권고)가 내려졌고
기존 특별여행주의보 지역도 효력이 유지됩니다.
사실상 '가지 말라'는 메시지가 분명합니다.
[ 여행 상품은 여전히 판매 중 ]
여행투어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캄보디아 패키지 상품. 네이버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하지만 주요 여행사들은 여전히 시엠레아프·프놈펜 패키지 투어를
정상적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11월 말 출발 일정까지 이미 확정된 상품도 여러 개.
상품 설명 어디에도 이번 안전 경보에 대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 "가이드 있으면 괜찮아요"라는 여행사들 ]
여행사 사무실. 게티이미지뱅크
원본보기 아이콘
여행사 측은 "현지 가이드가 안내하니 문제 없다"는 입장입니다.
예약 단계에서는 별도 안내가 없고, 현장에서 설명하겠다는 식입니다.
일부 여행사는 "문의가 오면 그때 안내하겠다"며
주의 문구를 상품 페이지에 넣을 계획조차 없다고 밝혔습니다.
[ 법적으로는 '안내 의무'가 있음에도 ]
캄보디아 패키지 상품 설명란에는 해외여행 경보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이라고 표시돼 있거나, 여행경보가 발령된 캄보디아 내 지역이 나와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주요 여행사 페이지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관광진흥법과 국외여행상품 정보제공 기준에 따르면
여행사는 여행경보 단계를 명확히 안내할 의무가 있습니다.
단순히 "외교부 사이트 참고"라고 적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구체적인 경보 단계와 위험 지역을 직접 고지해야 합니다.
[ 전문가 "정보 접근 방식 자체가 바뀌어야" ]
캄보디아 범죄단지 '태자단지' 모습. 연합뉴스
생활 흔적 남아있는 캄보디아 범죄단지.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외교부 조치와 여행경보 지역을
여행사 페이지에 명확히 표기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정부→여행업협회→여행사로 안전 정보를
직접 전달하는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가이드가 있으니 괜찮다"는 말은 책임을 미루는 표현일 뿐입니다.
위험을 알면서도 안내하지 않는 건 보호가 아니라 방치에 가깝습니다.
소비자에게 선택을 요구하려면 최소한의 정보 제공과 경보 수준을
정확히 안내하는 과정부터 갖춰져야 합니다.
-
취재
이은서 기자 libro@asiae.co.kr
사건의 조감도를 그려드리겠습니다.
-
편집
허은미 기자 eungmim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