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때 세계 2위 日 경제, 인도·영국에도 밀린 6위 전망" 日 언론 분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일본의 경제 규모가 독일과 인도, 영국에 차례로 추월당하면서 오는 2030년 세계 6위 수준으로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요미우리는 "인도의 실질 GDP 성장률은 오는 2026년 이후 6%대를 기록하고, 2029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로 부상할 것"이라며 "영국은 인구가 약 6900만 명으로 일본의 절반 정도지만, 이민자 유입으로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 이후 영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1.3∼1.5%로 일본의 0.5∼0.6%를 웃돌 것"이라고 분석했다.

요미우리는 또 엔화 약세 흐름이 일본 경제의 위상 추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요미우리, IMF 전망치 인용해 日 경제 분석
"명목 GDP 기준 2030년 영국이 추월해"
인구 감소 문제·엔화 약세 영향으로 꼽혀

일본의 경제 규모가 독일과 인도, 영국에 차례로 추월당하면서 오는 2030년 세계 6위 수준으로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연합뉴스는 16일 요미우리신문을 인용해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에 따르면 한때 세계 2위 경제 대국이었던 일본이 2030년에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가 6위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한때 세계 2위 경제 대국이었던 일본이 오는 2030년에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가 6위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로이터연합뉴스

한때 세계 2위 경제 대국이었던 일본이 오는 2030년에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가 6위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일본은 지난 1968년 당시 경제 주요 지표였던 국민총생산(GNP)을 기준으로 서독을 제치고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됐다. 이후 일본의 명목 GDP 순위는 지난 2022년까지 미국·중국에 이어 3위였으나, 2023년 독일에 추월당해 4위로 내려갔다. 그런데 IMF 추계에 따르면 일본은 내년 인도에도 밀려 5위가 되고, 2030년에는 영국에도 역전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명목 GDP는 2026년 4조 4636억달러(약 6330조원), 2030년 5조 1198억달러(약 7261조원)로 예측됐다. 반면 인도의 2026년 GDP는 4조 5056억달러(약 6389조원), 영국의 2030년 GDP는 5조 1997억 달러(약 7375조원)로 각각 전망됐다. 일본 경제 규모가 인도보다 작아질 것이라는 관측은 이전에도 있었으나, 영국에 추월당하는 시기가 구체적으로 언급된 보도는 드물었다.


일본의 경제 약화는 인구 감소 문제가 꼽힌다. 요미우리는 "인도의 실질 GDP 성장률은 오는 2026년 이후 6%대를 기록하고, 2029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로 부상할 것"이라며 "영국은 인구가 약 6900만 명으로 일본의 절반 정도지만, 이민자 유입으로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 이후 영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1.3∼1.5%로 일본의 0.5∼0.6%를 웃돌 것"이라고 분석했다.


요미우리는 또 엔화 약세 흐름이 일본 경제의 위상 추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엔/달러 환율은 지난 2022년 초 120엔을 밑돌았으나, 이날은 150엔대였다. 일본 금융업계 관계자는 매체에 "일본은 코로나19 이후 엔화 약세가 진행돼 GDP를 달러로 환산하면 상대적으로 30% 정도 감소했다"며 "실물경제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약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본 차기 총리로 유력한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는 대규모 양적 완화와 재정 지출 확대 등을 단행한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아베노믹스'를 추종하고 있어 엔화 가치는 점점 더 하락(엔화 환율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