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색·엘리베이터 공사비 폭증, 유지비 부담↑
직원 연봉 1억…코로나 이후 재정 회복 더뎌
'파리의 상징' 에펠탑이 만성 적자에 시달리며 파리 시의회가 또 한 번 입장료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영국 더타임스는 15일(현지시간) "에펠탑 운영사(SETE)의 재정난이 심화하면서 파리 시의회가 티켓 가격 추가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 성인 기준 최상층 엘리베이터 이용 요금은 36.10유로(약 6만원)로 지난해보다 이미 18% 오른 상태다. 그런데도 에펠탑은 지난해 850만유로(약 141억원)의 손실을 냈으며 2031년까지 누적 적자가 3100만 유로(약 513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회계감사원은 "운영사가 유지·보수 비용을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18년 재도장 공사 예산은 5000만 유로였지만 최종 비용은 세 배 가까운 1억4200만유로로 치솟았다. 북쪽 탑 엘리베이터 개보수 사업 역시 예산(3200만 유로)을 훌쩍 넘긴 5830만 유로가 투입됐다.
인건비 부담도 만만치 않다. 441명의 직원 인건비는 2019년 2590만 유로에서 올해 3230만 유로로 늘었다. 직원 평균 연봉은 7만2317유로(약 1억500만원)이며 단순 업무직조차 보너스를 포함하면 4만9032유로(약 7200만원)를 받는다. 공휴일 근무 실 일당의 3배, 휴무일 근무 시 2배의 보너스를 받는 등 복지도 프랑스 공공부문 중 최고 수준이다.
코로나19 팬데믹도 재정난에 기름을 부었다. 봉쇄 기간 약 1억4900만 유로의 수입이 증발했지만 여전히 그 손실을 회복하지 못했다. 운영사는 입장료 인상을 통해 적자를 메우려 했지만 시민들의 반발로 인한 한계에 부딪혔다. 방문객 증가 목표를 연 740만명에서 660만명으로 낮춘 것도 '과잉 관광'에 대한 시민 반발 때문이다.
파리 시의회는 "에펠탑 요금 체계 조정을 검토 중"이라며 사실상 인상 방침을 내비쳤다. 프랑스 RMC 라디오 진행자 파스칼 드 라 투르 뒤팽은 "에펠탑은 세계에서 많이 찾는 명소 중 한 곳인데 적자를 낼 수 있는지 놀라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