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대전센터서 이전 대상기관 협의회
애로사항 청취하고 세부계획 논의
전략물자관리리스템, 다음주 초 복구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할 행정정보시스템 대상 기관 협의회를 열고 세부 추진계획을 마련한다. 장기기증과 관련돼 복구가 시급했던 시스템은 내일(17일) 중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전 대상으로 검토 중인 시스템은 보건복지부, 소방청 등 소관 부처 5개와 복구 일정 등을 공유하고 있다"며 "내일 대구센터에서 이전 대상 기관 협의회를 개최해 조속하고 안정적 이전을 위한 논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20개를 추려 대구센터에서 복구할 계획이다. 소관 부처는 복지부, 소방청, 행안부, 기후에너지환경부, 조달청 등 5개다. 김 1차장은 "협의회에서는 대구 현장도 보고 민간 회사도 참석해 복구 일정 등을 확인한다"며 "애로사항도 청취하고 세부적인 추진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1차장은 "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은 17일까지, 산업통상부의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다음 주 초까지 복구를 완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이 마비되면서 장기 기증자·이식대기자 온라인 매칭이 불가능해져 의료기관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뇌사자 발생 현황 등을 공유하는 상황이다.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수출품에 대한 전략물자 여부를 판정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시스템 장애로 수출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낮 12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325개가 복구돼 전체 시스템의 45.8%가 정상화됐다. 중요도가 높은 시스템인 1등급은 40개 중 31개(77.5%), 2등급은 68개 중 39개(57.4%)가 복구됐다.
중대본은 이달 말까지 289개 시스템, 11월20일까지 76개 시스템을 복구하겠다는 방침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대구에서 복구가 이뤄지는 20개 시스템의 복구 완료 시점은 미정"이라고 전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