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분기 자금순환 통계
가계 순자금 운용액 41.6조 감소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가계의 여윳돈(여유자금)이 전 분기 대비 절반 가까이 줄었다. 상여금 수령 등 계절 효과가 사라지면서 가계소득은 감소한 반면, 아파트 등 실물자산 투자는 확대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6일 공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액은 5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92조9000억원) 대비 41조6000억원 적은 수준이다. 이 규모는 지난해 3분기(37조7000억원) 이후 매 분기 늘었으나, 4분기 만에 증가 폭이 축소됐다.
순자금 운용은 각 경제주체의 금융자산 거래액(자금 운용액)에서 금융부채 거래액(자금 조달액)을 뺀 값으로, 경제주체의 여유자금으로 해석된다. 통상 가계는 여유자금을 예금이나 투자를 통해 기업과 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가계는 순운용, 기업·정부는 순조달 상태인 것이 일반적이다.
김용현 한은 경제통계1국 자금순환팀장은 가계 여유자금 증가 폭이 줄어든 데 대해 "2분기 들어오면서 상여금 효과가 없어지고 아파트 구입이 많아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분기에는 저축을 많이 한 반면에 2분기에는 상여금도 줄고, 또 지출을 하면서 전분기보다는 순자금 운용 규모가 줄었다"고 덧붙였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계소득은 전 분기 대비 5.4% 감소했다. 반면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개인의 아파트 순취득 규모는 1분기 7800가구에서 2분기 9200가구로 늘었다.
자금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2분기 자금 운용규모는 76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101조2000억원) 대비 감소했다. 금융기관 예치금과 지분증권·투자펀드, 채권 운용액 모두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자금 조달액은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등 금융기관 차입금이 증가하면서 전 분기(8조2000억원) 대비 큰 폭으로 확대된 25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9.7%로 전 분기(89.4%) 대비 0.3%포인트 증가했다. 2023년 2분기 이후 8분기 만의 상승이다.
다만 김 팀장은 "3분기 가계대출은 6·27 대책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 금융기관의 자율적인 가계대출 관리 조치 등으로 2분기의 절반 수준"이라며 "3분기 GDP 성장률도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상승 흐름은 일시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일반기업)의 순자금 조달 규모는 3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투자 등 자금조달 수요가 줄면서 전 분기(18조7000억원) 대비 15조2000억원 축소됐다.
자금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기업의 2분기 자금 운용규모는 25조5000억원으로, 전 분기(25조3000억원) 대비 소폭 커졌다. 금융기관 예치금과 채권 투자가 증가로 전환된 영향이다. 자금 조달액은 주식 발행 등 직접금융을 통한 조달은 늘었으나, 상거래 신용이 감소하면서 전 분기(44조1000억원) 대비 규모가 축소된 29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순자금 조달 규모는 2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40조2000억원) 대비 큰 폭으로 축소됐다. 정부 수입은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지출이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국외부문 순자금 조달 규모는 41조5000억원으로 경상수지 흑자 폭 확대 등에 따라 전 분기(18조5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자금 운용규모는 33조9000억원, 자금 조달규모는 75조4000억원으로 모두 전 분기 대비 늘었다. 국외부문의 자금 운용 증가는 우리나라의 대외부채 증가를, 자금 조달 증가는 우리나라의 대외자산 증가를 의미한다.
한편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올해 2분기 말 현재 금융자산은 5797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과 비교해 222조3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금융부채는 2404조9000억원으로 27조원 늘었다. 이에 따라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3392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자산 대비 부채 배율은 2.41배로 전 분기 말(2.34배) 대비 상승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