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철 대표 "오해 야기 사과"
리셋 규정 신설로 논란 빚어
검찰 불기소 처분 정황도 도마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가 논란을 빚었던 일용직 근로자 퇴직금 지급 기준을 원래대로 되돌리기로 했다.
정종철 CFS 대표는 15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 "일용직 근로자 처우 개선을 위해 원복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퇴직금 지급 기준을 명확히 하려던 의도였으나 오해와 혼선을 야기한 점 사과드린다"며 "조속히 절차를 진행하고 피해가 없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CFS는 2023년 5월 취업규칙을 개정하며 이른바 '리셋 규정'을 신설했다. 1년 이상 근무해도 4주 평균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주가 한 번이라도 발생하면 근속 기간이 초기화되는 내용이었다.

정종철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 대표이사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에 대한 기후에너지환경고용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동부 부천지청은 이를 부당 퇴직금 체불로 판단해 지난 2월 CFS 인사담당 대표이사를 검찰에 송치했으나, 검찰은 4월 불기소 처분했다.
이와 관련해 김주영 민주당 의원은 국감에서 불기소 처분 당시 수사 검사였던 문지석 검사를 상대로 불기소 처분 정황을 질의했다. 김 의원이 "지난 4월 검찰의 불기소 처분에 동의했느냐"고 묻자, 참고인으로 출석한 문 검사는 "동의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어 "증거관계 및 대법원 판례에 비춰 충분히 기소할 수 있는 사안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만 문 검사의 판단에도 불구하고 사건은 무혐의로 끝났다. 당시 문 검사가 제출한 진정서에 따르면 인천지검 부천지청 지휘부가 무혐의를 지시하고 핵심 증거를 누락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외에도 이날 국감에서는 CFS의 근로환경과 산업재해도 집중 질의 대상이 됐다.
정 대표는 "1000억원 이상을 냉방·환기시설과 자동화 설비에 투자했다"며 "근로환경 개선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취업제한 블랙리스트에 대해서는 "표준운영절차(SOP)를 폐기했다"고 밝혔고, 상용직 채용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쿠팡 등 반복 산재 사업장에 대해 불시점검 강화 등 구체적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