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단독] "평균 연봉 1억이지만 못 버텨요" 금감원 3040 퇴직자 2배 '껑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매년 증가하는 퇴직자
연봉·처우 제자리…사고방식도 달라져
지난달 정부의 조직 개편안 여파도

금융감독원 직원들이 지난달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감원 로비에서 정부의 조직 개편안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금융감독원 직원들이 지난달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감원 로비에서 정부의 조직 개편안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해 금융감독원의 30~40대 퇴직자가 최근 5년 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하면 2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한창 일할 나이의 '허리급' 직원들이 금감원을 떠나고 있는 것은 연봉·처우, 달라진 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떠나는 젊은 직원들

16일 아시아경제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금감원 퇴직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자(정년퇴직·임금피크 적용·무기계약직·임원 퇴임 제외)는 총 56명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퇴직자는 최근 5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0년 25명이었던 퇴직자는 지난해 56명까지 늘어났다.

특히 이 중 30~40대 퇴직자 수는 28명으로 전년(11명)과 비교하면 2배가 넘는 수준이었다. 20대 퇴직자가 8명, 30대 퇴직자는 15명, 40대 퇴직자는 13명, 50대 퇴직자 20명이었다. 50대를 제외한 전 세대에서 퇴직자가 증가했다. 50대의 경우에만 전년(31명) 대비 11명 줄었다.


신입 직원들의 퇴사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0~1년 차 퇴사자는 14명으로 최근 5년 동안 가장 많은 인원이 금감원을 떠났다. 2~3년 차 퇴사자는 4명이었다. 2020년만 해도 0~1년 차의 퇴사자가 없었지만 2021년 2명, 2022년 2명, 2023년 6명 등으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단독] "평균 연봉 1억이지만 못 버텨요" 금감원 3040 퇴직자 2배 '껑충' 원본보기 아이콘

이와 관련해 금감원 관계자는 "연봉이나 처우 개선이 제자리걸음이다 보니 직원들이 이직을 많이 고려하는 것 같다"며 "금융권이나 대기업과 처우를 비교하다 보면 '신의 직장'이라는 말은 20년 전에나 하던 이야기가 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감원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기준 약 1억852만원으로 전년(1억1061만원) 대비 209만원이 줄었다. 2022년(1억1006만원) 연봉보다도 못한 수준이었다. 금감원 직원들의 연봉은 기획재정부 가이드라인을 적용받아 공무원 연봉 인상률을 초과할 수 없게 돼 있다. 평균연봉으로 보면 적지 않은 금액이지만 연봉 인상이 거의 없다 보니, 특히 젊은 직원들은 성과에 대해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다.

퇴사자를 연봉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퇴사자 중 연봉이 5000만원 미만이 30명으로 가장 많았고,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16명, 1억원 이상 1억5000만원 미만이 7명, 1억5000만원 이상이 3명 순이었다.


이 외엔 최근 신규채용 인원이 늘어난 만큼 그에 비례해 퇴직자도 증가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또 달라진 사고방식도 한몫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감원뿐 아니라 중앙부처에서도 퇴직 후 다른 진로를 준비하는 경우가 꽤 나타나고 있다"면서 "평생직장이란 개념이 없는 요즘 직원들의 특성도 반영된 것 같다"고 말했다.


[단독] "평균 연봉 1억이지만 못 버텨요" 금감원 3040 퇴직자 2배 '껑충' 원본보기 아이콘

조직개편 여파…올해 9월 퇴직자 '최다'

올해의 경우 지난달까지 퇴직자가 총 38명이었다. 연말까지 시간이 더 남아있는 점을 고려하면 퇴직자 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퇴직자가 가장 많았던 달은 2월과 9월이었다. 각각 7명의 직원이 그만뒀다.


특히 지난달 30~40대 퇴직자는 5명으로 다른 달과 비교해 가장 많은 인원이 사표를 냈다. 이 무렵 금감원은 조직개편으로 내홍을 겪었다. 앞서 당정은 금감원에서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분리해 금융소비자보호원을 신설하고, 금감원과 금소원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을 추진했다. 하지만 금감원 직원들의 시위 등 안팎으로 반발이 거세자 계획을 철회했다.


이 의원은 "최근 핵심 역할을 해야 할 30~40대 직원들의 이탈이 증가 추세를 보여 우려스럽다"며 "얼마 전 정부조직법 개편 논란으로 금감원 직원들의 불안감이 컸던 만큼 젊은 인력 유출을 막기 위한 조직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