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장관 등 만나 교착상태 풀 접점 모색할 듯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펀드' 세부 운영 방안 관련 이견 조율
미국 측, 韓 수정안에 "일부 반응"
APEC 계기 두 번째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성과 기대
김용범 정책실장이 16일 오전 한미 관세협상 후속협의 위해 방미한다고 15일 대통령실이 밝혔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도 김 실장의 방미 일정에 동행한다.
대통령실은 대변인실 명의의 공지를 통해 "김 실장은 관세협상 후속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이번 협상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등을 만나 교착 상태를 풀 접점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관세협상 후속협의 준비를 위해 앞서 출국을 한 상황이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3500억 달러(약 486조 원)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해 새로운 대안을 우리 정부에 전달하면서 공전하던 한미 관세 협상 상황에 진전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른바 '일본식 합의'로 압박하던 미국 행정부의 태도에도 일부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앞서 우리 정부는 8월 미국 측이 최초 제시한 대미투자 펀드 관련 양해각서(MOU) 내용에 대해 수정안을 전달했고 이달 초 미국 측으로부터 수정안에 대한 일부 의견을 받은 바 있다.
우리 협상팀이 이번 방미는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두 번째 한미 정상회담 이전에 진전된 결과물을 내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한 질문에 "미국에서 지금 새로운 대안을 들고나왔고 정부가 검토하는 단계"라고 했다. 미국 측이 제시했다는 대안에 대해서는 "그렇게 구체적인 대안은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이 '미국에서 원샷으로 현찰로 투자하라는 입장에선 이제 후퇴한 것이냐'고 질문하자 "그렇다"면서 "(접점이) 조금씩 만들어져 가고 있다고 저는 판단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조 장관은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이 열리는데 그때까지 이 문제를 잘 풀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협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