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韓구금사태 그 후…"美조지아, 오고싶지 않은 도시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호텔·식당 발길 끊겨…'현대차 특수' 실종

"한국인 누구도 여기에 오고 싶어 하지 않을 거예요."


현대차 공장 인근 풀러 시(市)의 한식당 업주는 1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공영방송 WABE와 '더 커런트' 등에 "체포된 한국인뿐만 아니라 이민 단속에 놀란 한국인들도 귀국했다"며 이른바 '한국인 구금사태' 이후 조지아주의 근황을 전했다. 이 식당 매출은 지난달 18% 감소했다.

현지 언론들은 최근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가 발생했던 미국 조지아주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특히 현대차 공장이 위치한 서배너 지역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것으로 관측됐다.


실제로 또 다른 한식당 업주는 "이전에는 한국인 20~30여명이 매일 회식을 가졌지만, 단속 후 손님 5명이면 많은 편"이라며 "지금은 식재료가 상해서 버리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아시안 식품 도매점 '비엣 후옹'은 1년 전만 해도 현대차 공장 맞은편에 대형 식품점을 열고 호황을 누렸다. 지금은 식품점 손님이 계속 줄고 있다. 현지 주민들은 한국 식료품에 관심이 없으며, 식품점 측은 재고만 쌓여 신상품을 구입할 여력이 없다.

호텔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애틀랜타 투자회사 '턴스톤 그룹'의 칩 존슨 최고경영자는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 인근 현대차 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인근 호텔에 투자했다. 현대차 근로자들이 공장 근처의 유일한 숙박시설에 꾸준히 묵을 것이라는 기대감이었다. 그러나 지난 7월 개장 후 호텔에 투숙한 현대차 근로자는 단 한명 뿐이었다.


이 가운데 현대차 공장은 구금사태 이후인 지난달 30일 서배너 공과대학 캠퍼스에서 공개 채용행사를 개최했다. 조지아주 전역에서 온 350여명의 구직자가 이력서를 들고 면접에 응했다.


채용행사장을 찾은 다시어 모슬리 씨는 현대차 공장 맞은편의 총기 공장에서 4년간 근무하다 지난달 해고됐다. 모슬리 씨는 "출퇴근에 1시간이 걸려도 좋으니, 좋은 보수의 일자리를 찾고 싶다"고 밝혔다. 트럭 운전사인 코디 베닝턴 씨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고 싶어 지원했다"고 말했다.


이력서를 손에 든 62세의 퇴역군인 브루스 홀씨는 "공채 행사는 현대차가 장기적 안목에서 지역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신호"라며 "돈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하기 위한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