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삼성전자 주가 2배 뛰면 1억 받는다…"3년 뒤라고요? 이직 못하겠네"

챗GPT 생성 이미지
챗GPT 생성 이미지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으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으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삼성전자가 돈 대신 주식으로 성과를 보상하는 제도를 도입합니다. 회사 주가가 오르면 임직원들도 그만큼 자사주를 받는 방식이에요. 이름은 '성과연동 주식보상(PSU·Performance Share Unit)' 제도입니다.


어떤 제도인가요?


기간: 앞으로 3년

Advertisement

대상: 삼성전자 CL 1~4 전 직원

방식: CL 1~2 직원 200주, CL 3~4 직원 300주씩 주가 상승 폭에 따라 보상 규모 결정.


예시: 삼성전자 주가가 9만1000원 수준으로 마감할 경우 기준주가 약 8만4000원 → 3년 뒤 2배(16만8000원)가 되면 CL 3~4 직원은 600주, 총 1억원 넘는 주식을 받게 됩니다.

주가 상승률과 지급 배수
20% 미만 → 0배
20~40% 미만 → 0.5배
40~60% 미만 → 1배
60~80% 미만 → 1.3배
80~100% 미만 → 1.7배
100% 이상 → 2배
→ 주가가 많이 오를수록 더 많은 주식을 받는 구조.
삼성전자가 돈 대신 주식으로 성과를 보상하는 제도를 도입한다. 삼성전자는 이 제도로 임직원들의 장기 성과를 끌어내고, 인재 이탈도 막겠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가 돈 대신 주식으로 성과를 보상하는 제도를 도입한다. 삼성전자는 이 제도로 임직원들의 장기 성과를 끌어내고, 인재 이탈도 막겠다는 전략이다.

원본보기 아이콘

왜 이런 걸 하나요?


삼성전자는 이 제도로 임직원들의 장기 성과를 끌어내고, 인재 이탈도 막겠다는 전략입니다.

3년 동안 주식을 받기 위해 회사에 머무르는 인재들이 늘어날 수 있고,

직원 입장에선 단기 성과급(OPI)보다 "미래에 더 큰 보상"을 기대할 수 있어요.

글로벌 빅테크처럼 주가 기반 보상 제도를 도입해 주주가치도 끌어올리겠다는 의도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들도 오래전부터 RSU(양도제한조건부주식) 등 비슷한 제도를 활용해왔죠.


하지만 우려도 있어요문제는 보상이 '확정된 돈'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주가가 20% 이상 오르지 않으면 보상이 '0'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임직원들이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주가가 꼭 비례해서 오르란 법은 없으니까요.

일각에선 "현금 지출을 줄이려는 꼼수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삼성전자는 직원들에게 성과급(OPI)의 일부를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는 선택권도 내년부터 부여한다.

삼성전자는 직원들에게 성과급(OPI)의 일부를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는 선택권도 내년부터 부여한다.

원본보기 아이콘

OPI 주식 보상도 확대 예정


PSU 외에도 성과급(OPI)의 일부를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는 선택권도 내년부터 생깁니다.

직원들이 OPI의 0~50% 범위에서 10% 단위로 주식 보상률을 선택 가능합니다.

1년간 보유하면 주식 보상금액의 15%를 추가로 받는 혜택도 있지요.

현재는 임원만 적용받던 제도를 전 직원으로 확대하는 겁니다.


한 줄 정리


삼성전자, "주가 오르면 너도 나도 윈윈" 전략 시동!

하지만 '3년 뒤 주가'라는 변수 때문에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어요.


Advertisement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