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게임업계와 첫 현장 간담회
부작용 잘 대처, 기회 만들어야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의 게임ㆍ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AI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를 체험하고 있다. 옆은 김형준 인조이스튜디오 대표.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과거 정부가 게임을 마약과 함께 4대 중독으로 규정해 지원은커녕 억압해서 (결국) 중국에 추월당했다"면서 "앞으로 게임산업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만큼 소수가 독점하는 게 아니라 많은 사람이 기회와 이익을 함께 나누는 좋은 산업으로 진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펍지(PUBG) 성수'에서 '세계 3위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주제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성남시장 시절 게임산업 분야에 관심을 가졌던 점을 떠올리면서 "(게임산업은) 길게 보면 문화 산업의 초기 형태인데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빚으면서 매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펍지 성수'는 게임사 크래프톤의 복합문화공간으로 현직 대통령이 현장에서 게임업계와 직접 만나 간담회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과거 게임산업의 발전을 저해한 과몰입 등에 대한 규제의 틀도 바꿔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 웹툰이 큰 산업인데, 지금 만화 보는 거로 걱정하는 사람 잘 없다"면서 "게임이니까 재밌다 보면 몰입도 높을 수밖에 없다. 부작용은 부작용대로 대처하면서 오히려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게임산업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하되 일하는 청년들도 성장의 혜택을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게임회사 근로자들의 근로시간과 근로 형태 등을 둘러싼 갈등을 제도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게임 사업자 입장에서 매출 올라가고 영업이익이 대폭 늘어나는 것도 즐거운 일이지만, 연구개발(R&D) 등에 참여하는 젊은 직원 청년들도 과연 그만큼 혜택 기회 누릴 수 있느냐는 게 관심사"라면서 "고용된 청년들에게 최소한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거나 소모품으로 사용되고 혹시 버려지는 그런 최악의 현상 생기지 않게 제도적으로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욱 넥슨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방준혁 넷마블 의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성준호 스마일게이트 대표, 배태근 네오위즈 대표 등 주요 게임사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해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이엔드' 노태영 프로게이머, 게임인재원 학생 등이 함께했다. 대통령실에서는 강훈식 비서실장, 김용범 정책실장이 참석했고 정부에서는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자리했다.
간담회에 앞서 이 대통령은 펍지 스튜디오 내에 별도로 마련된 '플레이 아레나'라는 체험공간에 들러 '인조이'라는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게임을 직접 해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한 주를 K컬처 주간으로 정하고 문화콘텐츠 기반 확충에 필요한 재정이나 세제, 규제 측면에서 혁신에 속도를 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 13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는 "K컬처의 성취를 더욱 굳건히 뿌리내리기 위해 문화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창의적인 문화 혁신 강국 실현에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려있다는 마음가짐으로 관련 정책을 세심하게 설계해 나갔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