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025국감]박대준 쿠팡 대표 "정산기간 단축 노력…입점사 광고 강요 엄정 조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박대준 쿠팡 대표 산자위·과방위 국정감사 출석
김명규 쿠팡이츠 대표 정무위서 "상생 부족" 질타받아

박대준 쿠팡 대표는 14일 입점업체에 지급하는 대금 정산주기와 관련 "결제 기간 단축을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국정감사에서 박상웅 국민의힘 의원이 "쿠팡이 입점업체에 대한 납품 정산을 지연해 상대적으로 상당한 시간을 여기에 쏟게 하고 있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변했다.

이날 박 의원은 쿠팡이 경쟁 e커머스 플랫폼대비 긴 정산주기를 집중 질의했다. 현행 대규모유통업법은 대규모 유통업자의 판매대금 정산 주기를 최대 60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e커머스 플랫폼의 경우 아직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쿠팡은 대규모유통업법을 임의 적용해 입점업체에 60일내에서 판매대금을 정산하고 있는데, 네이버를 비롯한 경쟁 e커머스 플랫폼들은 이보다 짧다는 것은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대준 대표가 14일 오후 열린 산자위 국정감사에 참석해 박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캡처

박대준 대표가 14일 오후 열린 산자위 국정감사에 참석해 박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박 의원은 "경쟁업체인 네이버쇼핑이 구매 확정 후 최대 9일, 공영홈쇼핑은 10일 단위로 정산이 이뤄지는 데 반해 쿠팡의 정산 주기는 최대 63일, 직매입의 경우에도 최대 60일에 달한다"면서 "중소상공인들과 쿠팡 입점업체들이 폐쇄적인 쿠팡이라는 가시덩굴에 갇혀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지적했다. 그는 "입점업체로 부터 물건을 사서(직매입) 파는 거 아니냐"며 "물건은 로켓배송으로 하루 만에 오는데 대금은 두 달이나 걸리면 영세업자들이 얼마나 힘들겠냐"고 덧붙였다.


박 의원 또 "쿠팡이 입점업체에 광고를 강요하고 있다"고도 질타했다. 쿠팡이 입점업체에 "광고를 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줄 수 있다"며 광고를 강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광고비를 강요한다거나 그런 것은 내부 정책적으로 금하고 있다"며 "일부 직원들이 그러한 행위를 한다면 엄중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설명했다.


박 대표는 이날 주성원 쿠팡 커머스 전략총괄과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도 출석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이날 박 대표와 주 총괄에게 "(가맹점 노출 순위에 있어서) 생태계를 고려하지 않고 검색 결과 광고비가 큰 대기업만 노출하면 소상공인은 설 자리가 없어진다"며 "(리더십과 의지를 갖고) 소상공인 상생 알고리즘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쿠팡의 음식 배달 서비스 자회사인 쿠팡이츠 서비스의 김명규 대표도 같은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자영업자에게 할인율을 강제하고 이에 따른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인분 무료배달 서비스가 겉으로는 할인 혜택을 내세우고 있지만, 운영 시 일반 자영업자에게 프랜차이즈보다 높은 할인율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명확히 확인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하기도 했다.


한편, 박 대표는 오는 15일에 열리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도 출석할 예정이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