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국 입점주 대표, 정무위 국감 참고인 출석
공적 주체 참여 M&A 지원 호소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협의회 대표가 장기화하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로 어려움을 겪는 점주들의 상황을 전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복구 비용 문제로 점포를 정리하기도 어렵다면서 정치권과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호소했다.
김 대표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자영업자들은 명절과 연말 특수 노리고 장사하는데 이번 추석 연휴에 홈플러스에 입점한 어느 점주는 하루 매출로 5만원밖에 팔지 못했다. 저희 매출은 계속 급감하는데 홈플러스는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있다"며 울먹였다.
이날 국감에는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PEF)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과 홈플러스 공동대표를 겸하는 김광일 부회장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들은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으로 새 주인을 찾는 것만이 홈플러스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를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반면 김 대표는 "5000억원, 7000억원, 사재 출연 1000억원 등의 얘기가 나오는데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비현실적인 얘기로 들린다"며 "저희는 홈플러스에 내야 하는 원상복구 비용 1200만원이 없어서 폐점도 못 하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는 또 "홈플러스는 점주들의 판매대금을 최대 60일간 묵혀둔 뒤 정산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한전에 전기요금이 미납되고,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는 얘기가 나온다"며 "우리 돈이 언제 정산이 막힐지 몰라 항상 불안하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정부와 국회가 개입해서 공적 주체가 참여하는 건강한 M&A가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 일부 매장의 폐점 계획이 보류됐다고 하지만 실상 매장 내 제품이 철수되고, 내점한 고객들은 텅 빈 내부를 보고 발길을 돌린다"며 "홈플러스 측의 매장 활성화 방안은 물론, 입점주를 위한 긴급 경영자금 지원도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한편 김광일 부회장은 홈플러스의 M&A 성사 가능성에 대한 윤한홍 정무위 위원장의 물음에 "현재로서는 반반 정도로 생각한다"며 "인수희망자를 설득하고 협의하는 단계로 오너급 최종 의사결정권자들이 결정하면 할 수 있는 단계까지 와 있는데 그 관문을 못 넘고 있다"고 말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