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량 줄이고 부위 바꿔 가격은 그대로…가맹점 보복 논란까지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 가 올해 국정감사에서 '슈링크플레이션(내용량 축소 판매)' 논란과 원재료 공급난 문제로 여야 의원들의 집중 질타를 받았다. 소비자 기만, 가맹점 피해, 공정위 신고 이후의 '보복성 조치' 의혹까지 겹치며 본사 경영책임이 도마 위에 올랐다.
"중량 줄이고 가격은 그대로"…소비자 고지 미흡 논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송종화 교촌에프앤비 대표를 상대로 "교촌치킨이 기존 700g이던 순살치킨 한 마리 제품을 지난달부터 500g으로 줄였지만 가격은 그대로 유지했다"며 "이는 전형적인 슈링크플레이션"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중량을 줄이면서도 소비자에게 충분히 고지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홈페이지 공지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 주요 구매 창구인 배달앱에는 변경 사실이 표시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교촌은 2018년 업계 최초로 배달비를 도입하며 '2만원 치킨 시대'를 연 브랜드"라며 "그때의 논란을 고려했다면 이번 결정은 더 신중했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소비자에게 명확히 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송 대표는 "홈페이지를 통해 고지했지만 충분히 알리지 못한 점을 인정한다"며 "배달앱 등 모든 채널에서 신속히 안내를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또 "치킨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대표 외식 품목으로 물가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며 "공정거래위원회가 소관 부처가 아니라는 이유로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주병기 공정위원장은 "치킨 중량·가격 문제는 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주는 사안으로 제도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공급도 안 되고 사입도 금지"…가맹점 피해·보복 의혹
같은 날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교촌의 원재료 공급난을 문제 삼았다. 그는 "교촌은 2019년과 2020년에도 원재료 공급 차질로 공정위 신고가 있었지만 이후에도 개선되지 않았다"며 "최근에는 공급률이 30%대까지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교촌이 닭다리살 대신 닭가슴살을 혼합해 단가를 낮추고, 중량을 줄인 것은 결국 공급난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한 것"이라며 "본사가 원재료를 제때 공급하지 않으면서도 가맹점의 외부 사입 요청을 '브랜드 보호'를 이유로 금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일부 가맹점이 공정위에 본사를 신고하자, 교촌이 두 달 만에 계약 갱신을 거절한 것은 사실상 보복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에 주병기 위원장은 "현재 해당 사건은 조사 중이며, 불공정 거래나 가맹점 피해 사실이 확인되면 법에 따라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송 대표는 "수급 불안정이 반복되는 구조적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며 "올해 들어 공급망 다변화 등 안정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외부 사입은 브랜드 경쟁력을 해칠 수 있어 쉽게 허용하기 어렵지만 가맹점 생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