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후보군 나타나"→공개입찰
10여일만에 방식 전환
정무위 국감서 청산 후 '먹튀' 계획 논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이후 새 주인 찾기에 돌입한 홈플러스가 말 바꾸기 논란에 휩싸이며 국회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수를 희망하는 협상자가 있다고 언급한 지 10여일 만에 공개 경쟁입찰로 방향을 선회하면서다. 이에 따라 홈플러스가 궁극적으로 청산을 염두에 두고 시간 벌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오른쪽)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김현민 기자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에 대한 신문에서 "9월19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원내대표와 만나서 '유력한 협상대상자와 협상 중'이라고 했는데 20일도 지나지 않아서 공개입찰로 전환했다"며 "11월10일이 인가 전 M&A 마지막 시한인데, 20여일 남은 시점에 공개 모집으로 새로운 인수자를 구할 수 있느냐"고 따져 물었다.
김 의원은 또 "처음부터 (홈플러스를) 운영할 생각이 없었고, 인수자가 나타나면 매각하겠다고 기만한 뒤 마지막 기한이 되면 청산 절차에 들어가서 '먹튀'할 생각 아니었느냐"면서 "알아보니 인수 희망자도 없더라.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청산 절차로 가면 국회도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질타했다.
당초 홈플러스는 지난 6월부터 우선 협상 대상자를 찾아 조건부 인수계약을 체결한 뒤 공개입찰에 부치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M&A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 방식으로 뚜렷한 진전이 없자 홈플러스와 매각주관사 삼일회계법인은 지난 2일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전환했다. 추석 연휴가 다가오기 전까지만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PEF) MBK 측이 유력한 협상 대상자가 있다고 언급한 상황이었으나 돌연 공개입찰 방식으로 바뀌면서 실제 협상 대상자가 있었는지를 두고 추궁이 이어진 것이다.
홈플러스 공동대표인 김광일 부회장은 "인수 후보자가 누구였느냐"는 거듭된 질의에도 '영업상 기밀'이라는 점을 들어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이 때문에 이날 정무위 국감에서는 MBK가 홈플러스 청산 절차를 진행한 이후 '엑시트(투자금 회수)' 할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다는 의혹이 여러 차례 제기됐다.
MBK 측이 지난달 홈플러스 인수 희망자의 자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향후 발생할 MBK의 운영수익 중 일부를 활용해 최대 2000억원을 홈플러스에 증여하겠다고 밝힌 사회적 책임 이행방안을 두고도 지적이 나왔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 인수 희망자의 조건을 맞추기 위해 2000억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을 제외하고 어떤 노력을 했느냐"면서 "집을 팔 때도 살 사람이 원하는 가격에 맞춰야 거래가 이뤄지듯, 인수자가 인수할 수 있는 조건을 맞춰주는 것이 노력"이라고 꼬집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