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베트남도 태국도 불안" 동남아 몰려가던 한국인들 갑자기 '멈칫'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납치·감금·고문 등 범죄피해 신고가 잇따르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어 "만약 실제 여행객 피해가 잦았다면 이미 공문이 내려왔을 것"이라며 "보통은 SNS 투자나 고수익 일자리 미끼에 속은 경우로, 일반 관광객이 위험할 가능성은 작다"고 강조했다.

베트남 한인회 관계자 역시 "하노이의 경우 한국인 거주자가 워낙 많고, 현지 분위기도 불안하지 않다"며 "캄보디아로 납치돼 넘어간다는 이야기가 사실로 확인된 적은 없고, 여행객 사이에서도 크게 동요되는 분위기는 없다"고 설명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캄보디아 살해 사건에 동남아 여행 공포 확산
"취업사기형 범죄가 주류…공포 과잉 경계"

베트남 호이안. 베트남관광청

베트남 호이안. 베트남관광청

AD
원본보기 아이콘

"베트남에서 납치해 캄보디아로 넘긴다더라. 동남아는 다 위험하다. 절대 가지 마라"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납치·감금·고문 등 범죄피해 신고가 잇따르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공포는 캄보디아를 넘어 베트남·태국 등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하는 분위기다. 온라인상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여행을 취소했다"는 후기와 "가지 말라"는 경고글이 줄을 잇고 있다.

"베트남도, 태국도 위험하다"…공포 확산

13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납치·감금이 많다는데 자유여행 괜찮을까" "12월에 동남아 가려고 했는데 인신매매 당할까 봐 무섭다" 등의 불안 섞인 글이 이어지고 있다.


태국 왕궁. 태국관광청

태국 왕궁. 태국관광청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캄보디아뿐 아니라 베트남, 태국 등 인접 국가로도 공포가 번지는 모습이다. "아이와 푸꾸옥 여행을 예약했는데 공항에서도 납치된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전부 취소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는 글에는 수십 개의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한 누리꾼은 "태국 방콕으로 다음 달 떠나는데 요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며 "캄보디아만 위험한 줄 알았는데 베트남이나 태국에서도 납치 후 캄보디아로 넘긴다는 말이 돈다"고 했다. 이에 "이제 동남아 전체가 위험하다" "동남아는 절대 가면 안 된다" 등의 공감 섞인 댓글이 이어졌다. 또 "호텔 웰컴 드링크도 조심하라"라거나 "야간비행은 피해야 한다"는 식의 글도 확산하고 있다. 일부 커뮤니티에는 "베트남 여행 중 납치돼 캄보디아로 팔려 갔다"는 피해자 가족의 주장이 올라와 공포 분위기를 더욱 키웠다.

다만 '공포 과잉'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일반 여행객은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 없다" "근거 없는 괴담이 공포를 키우고 있다" "뉴스가 불안 심리를 과도하게 자극하고 있는 듯" 등의 의견이 잇따랐다.


납치·감금 사건 대부분이 취업 사기형…관광객 피해는 드물어
납치·감금 사건은 대부분 '고수익 해외 취업'이나 '투자 리딩방'을 미끼로 한 온라인 취업 사기형 범죄로 파악된다. 아시아경제DB

납치·감금 사건은 대부분 '고수익 해외 취업'이나 '투자 리딩방'을 미끼로 한 온라인 취업 사기형 범죄로 파악된다. 아시아경제DB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납치·감금 사건은 대부분 '고수익 해외 취업'이나 '투자 리딩방'을 미끼로 한 온라인 취업 사기형 범죄로 파악된다. 태국 관광청 관계자는 "치안 위험성에 대한 별도 공문이 내려온 적은 없다"며 "대부분 취업 사기형 납치이고, 관광객을 납치해 캄보디아로 끌고 간 사례는 거의 없는 거로 안다"고 밝혔다. 이어 "만약 실제 여행객 피해가 잦았다면 이미 공문이 내려왔을 것"이라며 "보통은 SNS 투자나 고수익 일자리 미끼에 속은 경우로, 일반 관광객이 위험할 가능성은 작다"고 강조했다.


베트남 한인회 관계자 역시 "하노이의 경우 한국인 거주자가 워낙 많고, 현지 분위기도 불안하지 않다"며 "캄보디아로 납치돼 넘어간다는 이야기가 사실로 확인된 적은 없고, 여행객 사이에서도 크게 동요되는 분위기는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대학생 A씨가 지난 8월 캄보디아 현지에서 범죄조직에 고문당해 숨진 뒤 시신 송환이 늦어지는 상황이 알려지면서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의 심각성이 현안으로 대두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관련 범죄 현황을 보고받고 "우리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외교적으로 총력을 기울이라"고 지시했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