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대응, 지나치게 소극적…가입자 불편 우려"
KT가 현재 보유한 교체용 유심 확보량이 전체 가입자 3% 수준인 90만여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최근 해킹으로 유심(USIM) 정보 등 일부 가입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상황이다.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KT가 보유한 유심 재고는 약 90만개로 전체 가입자 2700만명의 3.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최근 이용자 362명이 약 2억4000만원에 달하는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의 신호를 수신한 이력이 있는 고객 2만30명의 휴대전화 번호,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등도 유출됐다.
김 의원은 "KT 해킹으로 통신망 복제, 사칭, 스미싱 등 2차 피해 우려가 여전하다"면서 "과거 유사한 해킹 피해를 겪은 SK텔레콤이 유심 교체 등 전면적 고객 보호에 나섰던 사례와 비교하면 KT의 대응은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사태가 악화해 유심 교체 요청이 몰릴 경우 가입자 불편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