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를 제치고 '글로벌 메모리 시장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올해 2분기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독주하는 SK하이닉스에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내준 지 1개 분기 만에 다시 왕좌를 되찾은 셈이다.
1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D램과 낸드 플래시를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194억달러(약 27조67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SK하이닉스는 175억달러(약 24조9600억원)을 달성했다. 전 분기 대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각각 매출이 25%, 13% 늘어났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는 범용 D램, 낸드 수요 강세로 1위를 회복했으며, 올해 부진했던 HBM 또한 내년부터 HBM3E(5세대)·HBM4(6세대)에 힘입어 본격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회복세를 통해 4분기에도 삼성이 메모리 시장 1위를 유지할 것으로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전망했다. 다만 3분기에는 낸드가 아닌 D램에서는 1위 자리를 탈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HBM 점유율 역시 확대가 예상된다. 삼성전자가 HBM3E 12단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던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맺은 데 따라 HBM 출하량 확대도 기대된다.
또 엔비디아와는 HBM3E 공급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HBM4 공급을 위한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사업의 회복에 따라 실적도 크게 반등했다.
올해 3분기 삼성전자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86조원, 12조1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를 맡고 있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영업이익을 5조원 후반대로 보고 있다. 특히 D램에서만 6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