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조합의 재무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최근 적자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까닭이다. 자립기반 강화를 위한 근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어기구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당진시)이 산림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림조합의 적자액은 2021년 20억원에서 지난해 482억원으로 급증했다. 최근 4년간 적자액 규모가 24배 확대된 것이다.
산림조합의 적자 조합 수도 늘었다. 적자 조합은 2021년 10곳에서 2022년 9곳으로 소폭 줄었다가 2023년 32곳, 지난해 33곳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자본 잠식 조합 역시 2021년 2곳(완전 잠식 1곳, 일부 잠식 1곳)에서 지난해 3곳(완전 잠식 1곳, 일부 잠식 2곳)으로 늘어난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완전 잠식 조합은 광주시, 일부 잠식 조합은 사천과 울릉으로 확인된다.
올해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 6월 기준 총 142개 조합 중 82곳(전체의 57.7%)이 적자를 기록했다. 상반기 산림조합의 적자액 합산액은 631억원에 달해 이미 지난해 전체 적자액 규모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해 산림조합중앙회는 "산림조합은 상반기 비용이 집중되고 하반기 수익이 반영되는 구조"라는 특이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그간 적자 조합과 적자액 규모가 증가한 추세를 고려할 때 산림조합 재무 건전성에 위험신호를 간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어 의원은 "산림조합의 재무 위기가 장기화하면 결국 피해는 조합원과 임업인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산림조합의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과 조합의 자립기반 강화를 위한 근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