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놈펜포스트, 캄보디아 당국자·관광계 입장 보도
캄보디아 측 "사기 조직 연루자 사건일 뿐, 일반 관광객은 안전" 반박
전문가들 "범죄는 국경을 넘는 문제… 협력 통한 대응 필요"

조현 외교부 장관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캄보디아 내 한국인 범죄 피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의 질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인 상대 사기조직의 납치·감금·살인 등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캄보디아에서 한국 정부의 대응과 한국내 여론을 예의주시하면서도 안타까움을 호소하고 있다. 캄보디아도 사기 조직의 피해를 입고 있으며 한국인을 비롯한 외국 관광객에게는 안전한 나라라는 것이다.
캄보디아 프놈펜포스트는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당국자들과 관광 전문가들이 한국 정부에 '사기 조직 및 그 연루자들이 저지른 범죄'와 '캄보디아를 찾은 일반 관광객 대상 범죄'를 구분해 달라고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최근 한국인 남성이 사기 조직과 연관된 사건으로 숨진 뒤, 이재명 대통령이 범죄 예방을 위한 외교적 대응을 강화하라고 지시한 것에 따른 반응이다. 매체는 "캄보디아 내 한국인을 범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외교력을 총동원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와 함께 캄보디아로 갔다가 사망한 사건 등 국내 보도를 전했다.

'온라인 스캠' 범죄조직과 전쟁에 나선 캄보디아 당국 합동단속반이 지난 8월 캄폿주에서 펼친 단속 작전에서 체포한 중국인들을 캄보디아 국영 AKP통신이 공개했다. 이들 중국인 3명은 지난 8월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에서 고문당한 뒤 숨진 사건을 수사한 현지 검찰에 의해 살인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캄보디아 한국어 관광가이드협회 세암 솟캥 회장은 프놈펜포스트에 "캄보디아는 일반 방문객, 특히 한국인 관광객에게 위험한 나라가 아니다. 이번 사건들은 모두 사기 조직과 연루된 개인들이 관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10일간 한국인 관광단을 인솔했으며 "손님들 모두 캄보디아가 안전하다고 느꼈고, 오기 전에는 사기 얘기를 들었지만 실제로는 아무 문제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피해자들은 대부분 관광객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불법 구직에 지원했다가 속거나 금전 갈취를 당한 경우다"라며 "한국 지도자(대통령)가 사기 조직 사건과 일반 관광을 구분하지 않은 점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울러 한국 정부가 자국민을 대상으로 '고수입 일자리' 등의 온라인 사기 수법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캄보디아 왕립학술원 국제관계연구소 킨 피아 소장도 같은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한국 정부는 특정 국가를 지목하기보다, 모든 해외여행 시 국민들에게 주의사항을 안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외교적 압박은 양국 관계를 악화시킬 뿐이며, 사기·납치·고문 등은 국경을 넘는 범죄이므로 양국이 협력해야만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캄보디아 정부 역시 범죄 근절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면서 "이런 사건들은 국가 이미지와 관광 산업에 악영향을 미친다. 안전이 확보되지 않으면 그 누구도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무부 대변인 터치 솟핵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사기 사건은 캄보디아만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다른 나라에서는 더 심각한 범죄가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번 사건을 이유로 양국 관계에 불필요한 긴장이 조성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캄보디아도 국제 사기 조직의 피해국이다. 한국 정부의 감정을 이해하지만, 캄보디아 역시 같은 범죄의 피해자라는 점을 알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솟핵 대변인은 "캄보디아 국민들도 해외에서 온라인 사기로 위험을 겪고 있다.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국민들에게 사기 수법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캄보디아는 주요 국제 공항과 국경 출입구에 온라인 사기 경고문을 게시하고 있으며, 사기 조직에 피난처를 제공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