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LG전자 인도법인 현지 상장…조주완 CEO "인도를 세계로"(종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인도법인 인도 증권거래소 상장
14일 현지서 경영진 모여 타종식
인도 특화 가전 라인업 공개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 거점지로

LG전자가 14일 인도법인을 인도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인도 시장에서 쌓아온 28년의 성과를 본사 성장 재원으로 되돌리는 첫 시도로, 현지에서 벌어들인 수익을 다시 글로벌 확장에 투입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미국과 중국 중심의 사업 축을 벗어나 신흥국을 새로운 성장축으로 삼으려는 전략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LG전자는 이날 인도법인 'LG일렉트로닉스 인디아(LG Electronics India Limited)' 지분 15%(1억181만5859주)를 기관투자가 등에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매각 금액은 1조8567억원으로 확정됐으며 이날부터 인도 증권거래소에서 주식 거래가 시작된다. 별도의 신주 발행 없이 기존 주식을 매각하는 방식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LG전자는 현지에서 확보한 자금을 본사로 유입시켜 향후 글로벌 투자 재원으로 활용한다.

인도 증권가의 반응은 뜨거웠다.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진행된 기업공개(IPO) 청약에 총 4조4300억루피(약 70조8000억원)가 몰리며 경쟁률은 54대 1을 기록했다. 현지에서는 LG라는 글로벌 브랜드 신뢰도와 인도 내 성장 잠재력이 결합된 결과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상장으로 LG전자는 장부가 기준보다 약 40배 높은 평가를 받으며 해외 법인 가치 재평가에도 성공했다.


LG전자는 현지시간 14일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 National Stock Exchange of India)에서 조주완 최고경영자(CEO), 김창태 최고재무책임자(CFO), 전홍주 인도법인장, 송대현 인도법인 이사회 의장 등 주요 경영진과 현지 투자자, 애널리스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법인 상장 및 미래비전 발표 행사를 열었다. 조주완 CEO와 아쉬쉬 차우한(Ashish Chauhan) NSE CEO가 현지 증시 개장시간인 오전 10시 정각에 LG전자 인도법인의 거래를 알리는 의미의 타종을 진행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월 2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경영 성과와 중장기 사업 전략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월 2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경영 성과와 중장기 사업 전략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인도 증시 상장과 더불어 조 CEO는 ▲'인도를 위해(Make for India)' ▲'인도에서(Make in India)' ▲'인도를 세계로(Make India Global)' 만드는 비전을 밝혔다. 14억 인구 대국이자 최대 잠재시장인 인도에서 현지 고객·시장 맞춤형 전략을 확대하고, 현재의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 지위를 넘어 최고 국민 기업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이날 인도 고객을 위해 기획한 특화 가전 라인업을 공개했다. 인도 특화 가전은 LG전자가 현지서 쌓아온 가전 노하우와 고객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현지 구매력을 고려한 가격, 인도의 생활환경과 방식에 맞춘 특화 기능 및 디자인 등을 두루 갖췄다.


LG전자는 1997년 인도 노이다에 첫 법인을 설립하며 인도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28년간 인도에서 생산·판매·서비스·연구개발이 모두 가능한 완결형 사업 구조를 구축했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등 주요 가전 제품군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현지에서 '프리미엄 국민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인도 기후, 문화, 전력 인프라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으로 브랜드 경쟁력을 높였다. 전력이 끊겨도 7시간 냉기를 유지하는 냉장고, 모기를 쫓는 초음파 기능을 탑재한 에어컨, 채식 인구를 위한 냉장·냉동 전환형 냉장고, 인도 전통의상 사리(Saree) 전용 세탁 모드를 갖춘 세탁기 등이 대표적이다.


고객 밀착형 서비스망도 LG전자의 강점으로 꼽힌다. 인도 전역에 16개 지역 사무소, 777개 브랜드샵, 23개 유통센터, 1만2000여 명의 서비스 엔지니어를 두고 있다. 설치부터 수리까지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하며 브랜드 신뢰를 높여왔다.


생산 인프라도 꾸준히 확대 중이다. LG전자는 노이다, 푸네에 이어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에 6억달러(약 8400억원)를 투입해 세 번째 가전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2030년 인도 중산층 비중이 46%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리시티 공장이 지역사회에 가져오는 직·간접적 일자리 창출은 약 2,000개에 이를 전망이다. 신공장을 포함하면 인도 내 연간 생산능력은 ▲냉장고 360만 대 ▲세탁기 375만 대 ▲에어컨 470만 대 ▲에어컨 컴프레서 200만 대 ▲TV 200만 대 등으로 늘어난다.


LG전자는 이번 인도 상장을 계기로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남반구)' 전략의 핵심 거점으로 삼을 계획이다. 확보한 자금은 생활가전뿐 아니라 전장(자동차 전기·전자장치), 로봇, 인공지능 가전 등 신성장 사업에도 투입된다.


회사 관계자는 "최근 발표한 3분기 실적을 보면 전장 부문이 성장세를 이어가며 시장 기대를 웃돌았다"며 "인도 상장은 LG전자의 글로벌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