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먼 "美에너지·경제 안보 위해 행동"
희토류·양자컴퓨터주 급등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가 13일(현지시간) 향후 10년간 미국 안보 관련 산업에 최대 100억달러(약 13조원)를 직접 투자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America First)' 정책 기조에 발맞춘 행보로, 민간 금융이 국가 전략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사례로 평가된다. JP모건의 대규모 투자 소식에 희토류·양자컴퓨터 등 관련주가 이날 뉴욕증시에서 일제히 급등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에서 "미국이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광물과 제품 등을 신뢰할 수 없는 공급원에 지나치게 의존해왔다는 사실이 뼈아프게 드러났다"며 "우리는 지금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 계획은 JP모건이 이날 발표한 향후 10년간 총 1조5000억달러(약 2050조원) 규모의 '핵심 산업(Critical Industries)' 금융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이 가운데 100억달러는 JP모건이 직접 지분투자 및 벤처캐피털 형태로 미국 내 기업에 투입할 계획이다. JP모건은 이번 투자를 통해 중국과의 패권 경쟁이 치열한 희토류 광물 분야를 비롯해 항공우주·에너지 기술 등 전략산업 전반에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투자 대상은 국방·항공우주, 인공지능(AI)·양자컴퓨팅 등 첨단 기술, 배터리·에너지 자립 분야, 공급망 및 첨단 제조업 등 4대 핵심 영역으로 나눴다.
이번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 기조에 발맞춘 행보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조치 이후 에너지·방산·희토류·AI 기술 등 안보 핵심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희토류 광물은 중국이 시장을 지배하며 미국을 상대로 무역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해온 대표적 산업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 기조를 민간 금융 대기업이 받아들이고 있는 가장 최근의 사례라고 평가했다.
다만 다이먼 CEO는 이번 투자가 "자선이 아닌 100% 상업적(commercial) 결정"이라고 선을 그으며 "정부 관계자와 아무런 논의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날 JP모건의 대규모 투자 소식에 관련주들은 폭등세를 나타냈다. 크리티컬메탈그룹(55.4%)과 유나이티드스테이츠앤티모니(+36.86%) 등 희토류 관련주가 급등했고, 오클로(16.2%)·뉴스케일파워(14.73%) 등 원전주, 아이온큐(16.2%)·리게티컴퓨팅(25.02%) 등 양자컴퓨터 관련주 등이 급등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평균 연봉 1억이지만 못 버텨요" 금감원 3040 퇴직자 2배 '껑충'](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101608085068559_176056973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